피부염

줄줄 흐르는 땀에… 땀띠 나고 짓무른 피부, '이렇게' 대처를

신은진 기자

이미지

땀띠, 짓무름 등이 생겼다면 살포제·칼라민 등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게티이미지뱅크
연일 계속되는 폭염에 피부가 괴로워하고 있다. 몸 곳곳에 땀띠가 생기고 피부가 접히는 부분은 짓무르는 일이 늘고 있다. 가렵고 따가워 신경이 쓰이고 불편하다면, 땀띠와 짓무름을 개선하는 약 사용에 대해 알아보자.

◇살포제·칼라민·산화아연 연고 등 유용
땀띠는 과도한 땀이나 자극으로 인해 피부에 생기는 붉은 발진으로 땀구멍이 생겨 막히는 염증질환이고, 짓무름은 피부각질층이 과도한 수분에 의해 수화된 현상이다. 피부 손상 촉진이란 공통점이 있는 두 질환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흔하다.

다행히 땀띠와 짓무름에 모두 효과가 있는 약들이 있다. 피부의 습진을 막거나 상처를 치료하기 위하여 뿌려 쓰는 ▲외용살포제 ▲산화아연 연고제 ▲칼라민·산화아연 로션제 등은 여름철 땀띠·짓무름 완화·개선에 효과가 좋다.


각각의 사용법을 보면, 외용살포제는 목욕 후나 취침 전에 피부를 깨끗이 한 후 발라 사용하고, 눈 주위·상처·습진 등 이상 부위에는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산화아연 연고제와 칼라민·산화아연 로션제는 환부에 직접 또는 거즈에 묻혀 바르고, 로션제를 사용할 때는 잘 흔들어 섞어줘야 한다. 단, 산화아연은 상처 부위에서 조직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어 중증·광범위한 화상, 감염부위, 상처, 습윤 상태의 환부, 눈 또는 눈 주위 점막에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칼라민·산화아연 로션제는 ▲알레르기 증상이 있었거나 ▲본인·가족이 알레르기 체질이거나 ▲미란(진무름)이 심하거나 ▲의사의 치료를 받는 경우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 특히 소아는 경련을 유발할 수 있어 보호자의 지도·감독하에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사용법을 지켜 사용하면, 대부분은 큰 문제 없이 땀띠와 짓무름이 수일 내에 사라진다. 그러나 만일 ▲5~6일간 사용에도 증상 개선이 없는 경우 ▲사용 시 발진·발적, 가려움, 자극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사용을 중지하고 의사·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만일 약이 눈에 들어가면 즉시 흐르는 물로 약물을 씻어내고 안과 의사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 또한 땀띠·짓무름용제는 아이들이 종종 먹는 경우가 있으므로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고, 의도치않게 아이가 약을 먹었다면 빨리 병원으로 가야 한다.

한편, 땀띠나 피부 짓무름을 예방하기 위해 파우더를 바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오히려 증상을 더 악화할 수 있다. 파우더 속 화학물질이 피부를 자극하고 땀구멍을 막을 수 있다. 땀을 흡수하기 위해 땀띠나 짓무름 부위에 수건을 두르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피부가 접히는 부위의 습도를 높여 땀띠나 짓무름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자제하는 게 좋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