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과

폭염에 어느새 땀띠… 없앨 수 있을까?

강수연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헐렁한 옷 착용, 샤워 등이 땀띠를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다./사진=헬스조선DB
더운 여름날엔 땀띠가 생기기 쉽다. 땀띠는 과도한 땀이나 자극으로 인해 피부에 생기는 붉은 발진이다. 폭염과 열대야에 땀띠로 스트레스받는 사람들을 위해 땀띠 치료 방법 등에 대해 알아봤다.

땀띠는 땀구멍이 막혀 생긴다. 고온다습한 환경, 원활하지 않은 공기 순환, 자외선에 의한 자극, 비누 과다 사용 등의 원인이다. 날이 더우면 체온 조절을 위해 땀샘에서 땀이 만들어지고 피부 표면으로 분비된다. 이때 이 땀구멍이 막히면 배출통로인 땀관에 땀이 고여 빨갛게 염증이 생긴다. 특히 어른보다 땀샘의 밀도가 높고 피부 표면 면적당 열 배출량이 많은 아이들은 땀띠가 더 잘 생긴다.

땀띠가 가려워도 긁어선 안 된다. 2차 감염 위험이 있어서다. 가렵고 따가운 느낌을 참지 못해 땀띠가 난 부위를 긁으면 세균이 침투할 수 있고 세균이나 칸디다균 등이 침범해 농양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참지 못할 만큼 가려운 증상이 계속될 때는 냉찜질을 하거나 증상이 심해지면 피부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병원에서 처방받은 항히스타민제와 연고를 땀띠 부위에 발라주면 2차 감염을 막을 수 있다.


띠는 대부분 치료 없이도 자연 치유된다. 땀띠 치료의 기본은 시원한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땀이 차지 않게 헐렁한 옷을 입어 통풍이 잘되게 하는 것만으로도 증상이 개선된다. 땀을 흘렸을 때 샤워를 자주 해 환부의 땀과 노폐물을 씻어내는 것도 효과적이다. 하지만 샤워할 때 지나친 비누 사용은 오히려 상처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여러 번 씻을 때는 가급적 물로만 닦는 게 좋다.

한편, 땀띠를 예방하기 위해 파우더를 바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좋지 않은 방법이다. 오히려 증상을 더 악화할 수 있다. 파우더 속 물질이 피부를 자극하고 땀구멍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목에 땀띠가 났을 때 목에 난 땀을 흡수하기 위해 수건을 두르는 경우도 있는데, 오히려 접히는 부위의 습도가 높아져 땀띠가 심해질 수 있으므로 자제해야 한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