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폭우 끝나면 찾아오는 산사태… 전조 증상은?
오상훈 기자
입력 2023/07/15 10:00
산사태는 폭우 이후에 찾아온다. 최근 10년(2012~2021년) 산사태 통계를 보면, 전체 산사태 면적의 48.8%는 8월에, 24%는 9월에 발생했다. 장마철 집중호우로 약해진 지반은 흘러내리기 쉽다. 전조 증상이 따로 있을까?
전 국토의 63%가 산지인 한국에서 산사태를 원천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산사태 조짐을 알아두고 여차하면 대피하는 게 중요하다. 행전안전부 ‘국민안전수칙’에 따르면 산사태 징조들은 다음과 같다. ▲산의 경사면에서 갑자기 많은 양의 물이 샘솟고 ▲평소 잘 나오던 샘물이나 지하수가 갑자기 나오지 않거나 ▲산허리에 금이 가있는 것처럼 빈 공간이 보인다면 물을 먹은 토사가 일부 유실됐다는 뜻이다. 바람이 불지 않는데 나무가 흔들린다거나 땅 울림이 느껴진다면 이미 산사태가 시작된 것이므로 즉시 대피해야 한다.
그러나 산사태 징조를 포착하는 게 쉬운 일은 아니다. 계속 산을 바라보고 있을 수도 없고 폭우가 쏟아지면 시야가 가려지기도 한다. 주택가에서는 옹벽 축대 등에 균열이 생기거나 그 앞에 위치한 배수로에 흙탕물이 차오른다면 산사태가 임박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산사태 징조를 확인하기 위해 옹벽 쪽으로 다가가는 건 가장 위험한 행위다.
확실한 신호는 대피 명령이다. 간혹 산사태 주민대피명령이 떨어져도 귀찮다고 따르지 않는 사례가 있는데 산사태 인명피해를 막기 위해서 경계해야 할 행동이다. 특히 산사태취약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은 항상 대피를 염두해 둬야 한다. 산사태취약지역이란 산사태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우려되는 곳을 뜻하며 산림보호법에 따라 지정된다. 각 지자체는 산사태취약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에게 지속적인 안내를 하고 있으며 대피 장소도 따로 정해놓고 있다.
대피할 때는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가스, 전기를 차단한다. 또 대피하지 않은 주민들에게 위험상황을 알려준다. 빠른 대피를 위해 집중호우 기간엔 간단한 생필품 등을 넣어놓은 가방을 마련해놓는 것도 좋다. 대피 이후에 PC로는 산사태정보시스템, 모바일에선 ‘스마트산림재해’를 통해 산사태 주의보·발령 지역을 계속 확인한다.
전 국토의 63%가 산지인 한국에서 산사태를 원천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산사태 조짐을 알아두고 여차하면 대피하는 게 중요하다. 행전안전부 ‘국민안전수칙’에 따르면 산사태 징조들은 다음과 같다. ▲산의 경사면에서 갑자기 많은 양의 물이 샘솟고 ▲평소 잘 나오던 샘물이나 지하수가 갑자기 나오지 않거나 ▲산허리에 금이 가있는 것처럼 빈 공간이 보인다면 물을 먹은 토사가 일부 유실됐다는 뜻이다. 바람이 불지 않는데 나무가 흔들린다거나 땅 울림이 느껴진다면 이미 산사태가 시작된 것이므로 즉시 대피해야 한다.
그러나 산사태 징조를 포착하는 게 쉬운 일은 아니다. 계속 산을 바라보고 있을 수도 없고 폭우가 쏟아지면 시야가 가려지기도 한다. 주택가에서는 옹벽 축대 등에 균열이 생기거나 그 앞에 위치한 배수로에 흙탕물이 차오른다면 산사태가 임박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산사태 징조를 확인하기 위해 옹벽 쪽으로 다가가는 건 가장 위험한 행위다.
확실한 신호는 대피 명령이다. 간혹 산사태 주민대피명령이 떨어져도 귀찮다고 따르지 않는 사례가 있는데 산사태 인명피해를 막기 위해서 경계해야 할 행동이다. 특히 산사태취약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은 항상 대피를 염두해 둬야 한다. 산사태취약지역이란 산사태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우려되는 곳을 뜻하며 산림보호법에 따라 지정된다. 각 지자체는 산사태취약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에게 지속적인 안내를 하고 있으며 대피 장소도 따로 정해놓고 있다.
대피할 때는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가스, 전기를 차단한다. 또 대피하지 않은 주민들에게 위험상황을 알려준다. 빠른 대피를 위해 집중호우 기간엔 간단한 생필품 등을 넣어놓은 가방을 마련해놓는 것도 좋다. 대피 이후에 PC로는 산사태정보시스템, 모바일에선 ‘스마트산림재해’를 통해 산사태 주의보·발령 지역을 계속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