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취통증의학과

자고 일어나니 고개 안 돌아가… 고통 빠르게 벗어나려면?

최지우 기자

이미지

잘못된 수면자세, 무리한 근육 사용 등이 담을 유발하는 원인이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아침에 일어났을 때 고개가 안 돌아가는 경우가 있다. 목 뒤쪽, 등, 어깨 근육 등이 딱딱하게 뭉쳐 통증이 생긴 경우로 흔히 ‘담에 걸렸다’고 표현한다. 해당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주된 원인
담에 걸리는 이유는 잘못된 수면자세나 평소 자주 사용하지 않던 근육을 무리하게 사용해 무리가 가서다. 몸에 긴장을 풀고 목 주위 근육과 등에 위치한 마름모꼴 근육인 능형근 부위 마사지 또는 물리 치료로 대부분 회복된다. 그런데 뭉치고 뻐근한 증상이 나아지지 않고 오래 지속된다면 근막통증증후군을 의심해봐야 한다.

◇질환 의심할 때는
근막통증증후군은 근육의 일부가 지속적으로 수축해 주위 혈관이 압박되고 혈류가 감소해 나타나는 질환이다. 통증 부위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주변 부위까지 저리다. 증상이 심한 경우, 두통, 어지럼증, 눈 통증, 귀 울림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뭉친 근육을 푸는 근육이완제, 통증을 완화하는 소염진통제 등 약물 치료, 마사지, 스트레칭 등 복합적인 방법으로 치료된다. 통증이 심한 경우, 통증 유발점 주사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이외에 경추부 신경 치료로 해당 근육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통증을 직접적으로 완화하는 방법도 있다.


◇증상완화 스트레칭 방법
단,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지 않고 턱을 괴거나 엎드려 자기, 고개를 앞으로 당기는 등의 잘못된 생활습관은 증상을 다시 악화할 수 있다.

평소 꾸준한 스트레칭으로 긴장된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스트레칭 방법은 다음과 같다. 양팔로 뒷짐을 진 채로 목을 숙이면 어깨 근육인 승모근 긴장이 완화된다. 이때, 목 뒤 근육이 땅기는 느낌이 들 때까지 목을 숙여야 한다. 오른손으로 왼쪽 귀 부근 머리를 잡고 오른쪽 45도 각도로 머리를 내려주는 동작도 도움이 된다. 이 상태로 5~10초간 유지하고 10~15회 반복하면 된다. 반대쪽도 같은 방법으로 진행한다.


癲ル슢��옙�볦삕�좑옙 占쎄퀗�э옙占� 占쎌쥙�ο옙�쇱삕�좑옙

占쎌쥙�э옙�낆릇占쎈툕�쀯옙節덈빝�좑옙 占쎌쥙�⑵짆�낆삕占쏙옙�용쐻�좑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