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돌아온 러브버그, 환경 정화에 도움 주는 익충이라고?
오상훈 기자
입력 2023/06/22 20:00
지난해 서울 은평구와 경기 고양시 등 일부 지역에서 기승을 부렸던 러브버그가 돌아왔다. 털파리과에 속하는 곤충인데 암수가 짝짓기하는 상태에서 자주 목격돼 러브버그란 이름이 붙었다. 사람에게 별 다른 피해를 끼치지 않고 썩은 식물을 섭취한 뒤 분해하기 때문에 익충으로 분류된다.
올해 러브버그 관련 민원은 22일 오전까지 900건 넘게 접수된 것으로 알려졌다. 러브버그는 고온다습한 환경을 좋아한다. 곤충도 생체시계가 있는데, 러브버그는 땅속에 모여 있다가 바깥 날씨의 상황을 보고 떼를 지어 나타난다. 지난해보다 등장 시점이 빨라진 건 더 이른 폭염주의보 발동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러브버그는 독성도 없고 질병도 옮기지 않는다. 되레 썩은 식물을 처리해 진드기 박멸과 환경 정화에 도움을 주는 익충이다. 간혹 창틀을 뚫고 러브버그가 나타났다거나 러브버그에게 물림을 당했다는 사람이 커뮤니티를 통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러브버그는 모기처럼 액체 등을 흡입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달된 입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다. 애초부터 방충망을 뚫거나 사람을 물 수 없는 신체 구조다.
전문가들은 러브버그가 1~2주 내로 사라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생존 기간이 짧아서다. 짝짓기를 통해 알을 낳아 번식할까봐 우려되는 사람도 있겠지만, 러브버그가 알을 낳고 성충하기까지 1년이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지금 눈앞에 보이는 러브버그는 1~2주 내로 사라질 전망이다.
그럼에도 러브버그를 퇴치하고 싶다면 창문을 닫아 유입을 막는 게 최선이다. 움직임이 둔하기 때문에 청소기로 처리할 수도 있다. 러브버그에 물을 뿌리면 날개가 젖어 활동에 제약받기 때문에 분무기를 사용하는 것도 효과가 있다.
한편, 하늘을 뒤덮은 동양하루살이, 아파트에서 대거 발생한 혹파리, 목재 가구 등을 갉아먹는 흰개미 등 전과 달리 곤충들이 대규모로 등장하는 원인으로는 기후변화가 꼽힌다. 그러나 해당 곤충들을 방역하면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지자체는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모양새다.
올해 러브버그 관련 민원은 22일 오전까지 900건 넘게 접수된 것으로 알려졌다. 러브버그는 고온다습한 환경을 좋아한다. 곤충도 생체시계가 있는데, 러브버그는 땅속에 모여 있다가 바깥 날씨의 상황을 보고 떼를 지어 나타난다. 지난해보다 등장 시점이 빨라진 건 더 이른 폭염주의보 발동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러브버그는 독성도 없고 질병도 옮기지 않는다. 되레 썩은 식물을 처리해 진드기 박멸과 환경 정화에 도움을 주는 익충이다. 간혹 창틀을 뚫고 러브버그가 나타났다거나 러브버그에게 물림을 당했다는 사람이 커뮤니티를 통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러브버그는 모기처럼 액체 등을 흡입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달된 입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다. 애초부터 방충망을 뚫거나 사람을 물 수 없는 신체 구조다.
전문가들은 러브버그가 1~2주 내로 사라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생존 기간이 짧아서다. 짝짓기를 통해 알을 낳아 번식할까봐 우려되는 사람도 있겠지만, 러브버그가 알을 낳고 성충하기까지 1년이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지금 눈앞에 보이는 러브버그는 1~2주 내로 사라질 전망이다.
그럼에도 러브버그를 퇴치하고 싶다면 창문을 닫아 유입을 막는 게 최선이다. 움직임이 둔하기 때문에 청소기로 처리할 수도 있다. 러브버그에 물을 뿌리면 날개가 젖어 활동에 제약받기 때문에 분무기를 사용하는 것도 효과가 있다.
한편, 하늘을 뒤덮은 동양하루살이, 아파트에서 대거 발생한 혹파리, 목재 가구 등을 갉아먹는 흰개미 등 전과 달리 곤충들이 대규모로 등장하는 원인으로는 기후변화가 꼽힌다. 그러나 해당 곤충들을 방역하면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지자체는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모양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