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양병원에 입원한 80대 남성의 입에서 구더기가 나오는 일이 벌어졌다.
지난 13일 JTBC에 따르면 지난달 요양병원에 입원한 84세 아버지를 간호하던 A씨는 의식이 없는 아버지의 입속에서 꿈틀대는 하얀색 벌레들을 발견했다. A씨가 자세히 살펴보니 1~1.5cm 크기의 구더기 여러 마리가 움직이고 있었다. A씨는 고무장갑을 착용해 입속의 구더기를 꺼내고, 간호사가 가져온 흡입기로 목구멍 안쪽에 있는 4~5마리의 구더기까지 모두 잡아냈다. 다음 날 A씨 다행히 입속에 구더기는 더 이상 발견되지 않았고, 피검사에서도 염증 수치가 정상 범위로 돌아왔다. A씨의 아버지가 겪은 증상은 구강에 나타난 구더기증으로 추정된다. 구더기증이란 무엇일까?
구더기증은 구더기가 인체나 동물의 조직 내에서 기생하면서 나타나는 병이다. 구더기가 기생충 형태로 입안에서 발견된다. 대한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구더기증은 질병이나 사고로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서 자주 발생한다. 이 외에도 노령, 신체 마비나 거동 불편, 정신 지체로 인한 비위생 등이 위험 인자로 알려졌다. 구더기증의 주요 발병 부위는 상처 부위, 피부, 눈이 대표적이고, 구강이나 코에서도 드물게 나타날 수 있다. 구더기증은 육안으로 진단하거나 내시경을 이용한다. 만약 구더기가 부비동(콧구멍과 연결돼 얼굴뼈 안에 있는 빈 공간)과 같은 깊숙한 곳에 위치하여 잘 보이지 않을 경우 안면부 전산화단층촬영(CT) 등을 활용한다.
아직까지 구더기증의 적절한 치료법은 확립되지 않은 상태다. 다만, 물리적인 제거, 소독액의 주입 두 가지 방법을 통해 치료하고 있다. 물리적인 제거가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졌으나, 제거 과정에서 조직 손상 위험이 있고, 유충이 너무 작거나 호흡기와 같이 구조가 복잡한 부위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 제거가 불완전할 수 있다. 따라서 구강과 같은 부위에 발생한 구더기증은 물리적 제거뿐만 아니라, 소독액을 이용한 세척을 같이 진행한다.
국내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여러 차례 확인된 바 있다. 2014년 치매를 앓고 있던 82세의 할머니의 양쪽 콧구멍에서 살아있는 구더기 수십 마리가 발견됐다. 2016년에는 건강한 70대 남성의 눈과 귀에서 구더기가 나왔다.
지난 13일 JTBC에 따르면 지난달 요양병원에 입원한 84세 아버지를 간호하던 A씨는 의식이 없는 아버지의 입속에서 꿈틀대는 하얀색 벌레들을 발견했다. A씨가 자세히 살펴보니 1~1.5cm 크기의 구더기 여러 마리가 움직이고 있었다. A씨는 고무장갑을 착용해 입속의 구더기를 꺼내고, 간호사가 가져온 흡입기로 목구멍 안쪽에 있는 4~5마리의 구더기까지 모두 잡아냈다. 다음 날 A씨 다행히 입속에 구더기는 더 이상 발견되지 않았고, 피검사에서도 염증 수치가 정상 범위로 돌아왔다. A씨의 아버지가 겪은 증상은 구강에 나타난 구더기증으로 추정된다. 구더기증이란 무엇일까?
구더기증은 구더기가 인체나 동물의 조직 내에서 기생하면서 나타나는 병이다. 구더기가 기생충 형태로 입안에서 발견된다. 대한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구더기증은 질병이나 사고로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서 자주 발생한다. 이 외에도 노령, 신체 마비나 거동 불편, 정신 지체로 인한 비위생 등이 위험 인자로 알려졌다. 구더기증의 주요 발병 부위는 상처 부위, 피부, 눈이 대표적이고, 구강이나 코에서도 드물게 나타날 수 있다. 구더기증은 육안으로 진단하거나 내시경을 이용한다. 만약 구더기가 부비동(콧구멍과 연결돼 얼굴뼈 안에 있는 빈 공간)과 같은 깊숙한 곳에 위치하여 잘 보이지 않을 경우 안면부 전산화단층촬영(CT) 등을 활용한다.
아직까지 구더기증의 적절한 치료법은 확립되지 않은 상태다. 다만, 물리적인 제거, 소독액의 주입 두 가지 방법을 통해 치료하고 있다. 물리적인 제거가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졌으나, 제거 과정에서 조직 손상 위험이 있고, 유충이 너무 작거나 호흡기와 같이 구조가 복잡한 부위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 제거가 불완전할 수 있다. 따라서 구강과 같은 부위에 발생한 구더기증은 물리적 제거뿐만 아니라, 소독액을 이용한 세척을 같이 진행한다.
국내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여러 차례 확인된 바 있다. 2014년 치매를 앓고 있던 82세의 할머니의 양쪽 콧구멍에서 살아있는 구더기 수십 마리가 발견됐다. 2016년에는 건강한 70대 남성의 눈과 귀에서 구더기가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