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희대병원 소화기내과 이창균 교수 연구팀(소화기내과 김효종·오신주 교수)은 항생제 복용이 염증성 장질환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염증성 장질환은 소장과 대장 등 소화관에 지속적으로 염증이 생기는 난치성 질환이다.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이 대표적이며, 흔히 호소하는 증상으로는 설사, 복통, 혈변, 체중 감소 등이 있다.
연구팀은 항생제 복용과 염증성 장질환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2004~2018년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에서 한국인 염증성 장질환 환자 6만8633명의 데이터를 추출해 대조군 34만3165명과 비교·분석했다.
분석 결과, 2~5년 전 항생제 복용 여부에 따라 염증성 장질환 발병 위험이 약 2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생제 복용 경험은 염증성 장질환 발병 위험에 진단 전 최대 9년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생제 복용량이 증가할수록 발병 위험도 증가했다.
연구의 저자 이창균 교수는 “우리나라는 항생제 사용률이 높은 대표적인 나라로 손꼽히는 만큼 항생제 오남용의 위험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무분별한 사용에 대한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며 “항생제의 과다 사용이 원인불명 희귀 난치질환인 염증성 장질환을 유발하는 환경적 인자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 대규모 인구기반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항생제 오남용은 꽤 심각한 문제다. 염증성 장질환뿐만 아니라 대장암, 급성신손상 등의 발병률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균이 특정 항생제에 저항력을 가지는 항생제 내성도 큰 문제다. 항생제를 사용해도 죽지 않는 '슈퍼박테리아'가 증가해 감염병 치료가 어려워질 수 있다. 한국은 2019년 기준 인체 항생제 사용량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 가운데 3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미 항생제 내성률이 증가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많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소화기 약리학 및 치료학(Alimentary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에 최근 발표됐다.
염증성 장질환은 소장과 대장 등 소화관에 지속적으로 염증이 생기는 난치성 질환이다.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이 대표적이며, 흔히 호소하는 증상으로는 설사, 복통, 혈변, 체중 감소 등이 있다.
연구팀은 항생제 복용과 염증성 장질환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2004~2018년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에서 한국인 염증성 장질환 환자 6만8633명의 데이터를 추출해 대조군 34만3165명과 비교·분석했다.
분석 결과, 2~5년 전 항생제 복용 여부에 따라 염증성 장질환 발병 위험이 약 2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생제 복용 경험은 염증성 장질환 발병 위험에 진단 전 최대 9년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생제 복용량이 증가할수록 발병 위험도 증가했다.
연구의 저자 이창균 교수는 “우리나라는 항생제 사용률이 높은 대표적인 나라로 손꼽히는 만큼 항생제 오남용의 위험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무분별한 사용에 대한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며 “항생제의 과다 사용이 원인불명 희귀 난치질환인 염증성 장질환을 유발하는 환경적 인자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 대규모 인구기반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항생제 오남용은 꽤 심각한 문제다. 염증성 장질환뿐만 아니라 대장암, 급성신손상 등의 발병률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균이 특정 항생제에 저항력을 가지는 항생제 내성도 큰 문제다. 항생제를 사용해도 죽지 않는 '슈퍼박테리아'가 증가해 감염병 치료가 어려워질 수 있다. 한국은 2019년 기준 인체 항생제 사용량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 가운데 3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미 항생제 내성률이 증가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많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소화기 약리학 및 치료학(Alimentary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에 최근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