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일어나서 기지개 한 번, ‘이런 효과’ 가져다준다
전종보 기자
입력 2023/04/16 18:30
활기차게 하루를 열고 싶다면 아침에 일어나 기지개를 켜보자. 졸리고 정신이 없어도 한 번씩 기지개를 켜면 잠에서 깨는 것은 물론, 혈액순환과 근육·관절이 풀어지는 효과도 볼 수 있다.
우리 몸의 근육과 관절은 자는 동안 움직임 없이 굳어있다. 몸이 굳은 상태에서 갑자기 일어나 움직이면 근육·관절이 자극을 받으면서 통증, 경련이 나타나곤 한다. 매일 아침에 일어나 기지개를 켜면 이 같은 문제들을 피할 수 있다. 기지개를 켜기 위해 몸을 쭉 펴고 스트레칭하면 굳었던 근육·관절이 풀어지기 때문이다. 성장기에는 근육이 당겨지면서 성장판이 자극되는 효과도 있다.
기지개를 켤 때 근육이 수축하면 혈액 순환에도 도움이 된다. 혈액 순환이 원활할수록 몸 곳곳으로 혈액이 잘 전달돼 에너지 또한 많이 얻게 된다. 특히 아침에는 잠에서 깬 뒤 하루를 시작하기 위해 많은 양의 에너지가 필요한 만큼, 기지개를 켜는 습관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외에도 기지개는 척추기립근을 단련하고 목·허리 디스크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며, 기지개를 통해 장이 자극되면 연동 운동이 활발해지고 배변 활동도 촉진될 수 있다.
기지개를 켤 때는 팔과 다리를 쭉 뻗어주도록 한다. 뻗으면서 숨을 들이쉰 뒤 잠시 멈췄다가 몸을 이완시킬 때 다시 내쉰다. 배가 위아래로 움직이도록 호흡하면 혈액을 효과적으로 퍼뜨릴 수 있다. 앉아서 기지개를 켤 경우 배에 힘을 준 상태에서 허리를 꼿꼿하게 펴고, 등 양쪽 어깨뼈 간격을 좁힌다는 생각으로 가슴을 활짝 열어주도록 한다. 팔은 양옆으로 펼치고, 턱을 들어 올려 목을 천천히 뒤로 젖혀준다.
잠에서 깬 직후에는 몸이 굳어있는 만큼, 천천히 무리가 되지 않을 정도로 기지개를 켜야 한다. 과하게 몸을 젖힐 경우 오히려 통증과 함께 담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이미 통증이 있거나 담 증세가 있다면 기지개를 삼가도록 한다. 간혹 기지개를 켜다가 심한 어지러움을 느끼거나 잠시 의식을 잃기도 하는데, 이 경우 경동맥이 눌리고 자율신경계에 문제가 생긴 것일 수 있으므로 즉시 병원을 방문해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우리 몸의 근육과 관절은 자는 동안 움직임 없이 굳어있다. 몸이 굳은 상태에서 갑자기 일어나 움직이면 근육·관절이 자극을 받으면서 통증, 경련이 나타나곤 한다. 매일 아침에 일어나 기지개를 켜면 이 같은 문제들을 피할 수 있다. 기지개를 켜기 위해 몸을 쭉 펴고 스트레칭하면 굳었던 근육·관절이 풀어지기 때문이다. 성장기에는 근육이 당겨지면서 성장판이 자극되는 효과도 있다.
기지개를 켤 때 근육이 수축하면 혈액 순환에도 도움이 된다. 혈액 순환이 원활할수록 몸 곳곳으로 혈액이 잘 전달돼 에너지 또한 많이 얻게 된다. 특히 아침에는 잠에서 깬 뒤 하루를 시작하기 위해 많은 양의 에너지가 필요한 만큼, 기지개를 켜는 습관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외에도 기지개는 척추기립근을 단련하고 목·허리 디스크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며, 기지개를 통해 장이 자극되면 연동 운동이 활발해지고 배변 활동도 촉진될 수 있다.
기지개를 켤 때는 팔과 다리를 쭉 뻗어주도록 한다. 뻗으면서 숨을 들이쉰 뒤 잠시 멈췄다가 몸을 이완시킬 때 다시 내쉰다. 배가 위아래로 움직이도록 호흡하면 혈액을 효과적으로 퍼뜨릴 수 있다. 앉아서 기지개를 켤 경우 배에 힘을 준 상태에서 허리를 꼿꼿하게 펴고, 등 양쪽 어깨뼈 간격을 좁힌다는 생각으로 가슴을 활짝 열어주도록 한다. 팔은 양옆으로 펼치고, 턱을 들어 올려 목을 천천히 뒤로 젖혀준다.
잠에서 깬 직후에는 몸이 굳어있는 만큼, 천천히 무리가 되지 않을 정도로 기지개를 켜야 한다. 과하게 몸을 젖힐 경우 오히려 통증과 함께 담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이미 통증이 있거나 담 증세가 있다면 기지개를 삼가도록 한다. 간혹 기지개를 켜다가 심한 어지러움을 느끼거나 잠시 의식을 잃기도 하는데, 이 경우 경동맥이 눌리고 자율신경계에 문제가 생긴 것일 수 있으므로 즉시 병원을 방문해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