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폭설 내렸을 때… '제설함' 누구든 사용 가능하다?
이해나 기자 | 이채리 인턴기자
입력 2023/01/26 17:39
오늘(26일) 서울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많은 눈이 내렸다. 눈이 내렸을 때는 넘어져 부상을 입기 쉬운데 자칫하면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사고 예방을 위해 제설함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시민 누구나 사용할 수 있어
제설함은 시민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제설함은 쌓인 눈을 치우는 데 필요한 제설 도구를 넣어두는 곳인데 염화칼슘, 모래, 삽, 넉가래 등이 들어있다. 지역마다 제설 재료 용량과 도구는 차이가 있다. 제설함은 고가 차도, 고갯길, 상습 결빙지역, 마을버스 노선, 골목길 등 도로와 주택가에 인접한 곳에 있다. 정확한 위치는 ▲서울 안전 누리 홈페이지 ▲서울 안전 모바일 앱을 통해 찾을 수 있다. 각 자치구별로 제설함의 위치는 데이터로 공개한다.
◇눈 오기 전에 미리 뿌려야
염화칼슘은 눈 오기 전에 미리 뿌려 두는 게 좋다. 염화칼슘을 제설제로 사용하는 이유는 수분을 잘 흡수하고 물에 잘 녹는 성질 때문인데, 염화칼슘을 미리 뿌려 두면 눈이 염화칼슘이 뿌려진 길바닥에 닿으면서 녹게 된다. 실제로 눈이 오고 난 뒤에 염화칼슘을 뿌릴 경우 미리 뿌렸을 때보다 10배 이상의 염화칼슘을 사용하게 된다. 염화칼슘의 양은 ▲기온이 영하 0℃ 이하이고 적설량이 3cm 내외일 때 0.02~0.03kg/㎡ ▲기온이 영하 0℃ 이하이고 적설량이 5cm 이상일 때 0.04~0.05kg/㎡ ▲기온이 영하 0℃ 이하이고 적설량이 10cm 이상일 때 밀기 작업 후 0.02~0.03kg/㎡ 정도를 살포하는 게 좋다. 염화칼슘에 모래를 섞어서 도포하면 미끄럼 방지에 더욱 효과적이다.
◇염화칼슘, 호흡기와 피부 자극해
염화칼슘을 뿌릴 때는 필요한 양만 사용한다. 많은 양을 사용하면 염화칼슘이 공기에 뒤섞여 호흡기를 자극하고, 손 등 피부에 묻는다. 염화칼슘 자체만으로 크게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지만 수질 오염, 건축물 부식 등의 부작용을 낳는 화학물질이기 때문에 알레르기 비염 환자나 예민한 피부를 가진 사람은 특히나 조심해야 한다. 실제로 염화칼슘은 습기를 빨아들이고, 발열하는 성질을 가진다. 염화칼슘이 미세먼지와 섞여 호흡기를 통해 몸속에 들어오면 코 점막에 염증을 일으킨다. 피부에 닿으면 가려움, 붉은 반점 등이 나타난다.
◇시민 누구나 사용할 수 있어
제설함은 시민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제설함은 쌓인 눈을 치우는 데 필요한 제설 도구를 넣어두는 곳인데 염화칼슘, 모래, 삽, 넉가래 등이 들어있다. 지역마다 제설 재료 용량과 도구는 차이가 있다. 제설함은 고가 차도, 고갯길, 상습 결빙지역, 마을버스 노선, 골목길 등 도로와 주택가에 인접한 곳에 있다. 정확한 위치는 ▲서울 안전 누리 홈페이지 ▲서울 안전 모바일 앱을 통해 찾을 수 있다. 각 자치구별로 제설함의 위치는 데이터로 공개한다.
◇눈 오기 전에 미리 뿌려야
염화칼슘은 눈 오기 전에 미리 뿌려 두는 게 좋다. 염화칼슘을 제설제로 사용하는 이유는 수분을 잘 흡수하고 물에 잘 녹는 성질 때문인데, 염화칼슘을 미리 뿌려 두면 눈이 염화칼슘이 뿌려진 길바닥에 닿으면서 녹게 된다. 실제로 눈이 오고 난 뒤에 염화칼슘을 뿌릴 경우 미리 뿌렸을 때보다 10배 이상의 염화칼슘을 사용하게 된다. 염화칼슘의 양은 ▲기온이 영하 0℃ 이하이고 적설량이 3cm 내외일 때 0.02~0.03kg/㎡ ▲기온이 영하 0℃ 이하이고 적설량이 5cm 이상일 때 0.04~0.05kg/㎡ ▲기온이 영하 0℃ 이하이고 적설량이 10cm 이상일 때 밀기 작업 후 0.02~0.03kg/㎡ 정도를 살포하는 게 좋다. 염화칼슘에 모래를 섞어서 도포하면 미끄럼 방지에 더욱 효과적이다.
◇염화칼슘, 호흡기와 피부 자극해
염화칼슘을 뿌릴 때는 필요한 양만 사용한다. 많은 양을 사용하면 염화칼슘이 공기에 뒤섞여 호흡기를 자극하고, 손 등 피부에 묻는다. 염화칼슘 자체만으로 크게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지만 수질 오염, 건축물 부식 등의 부작용을 낳는 화학물질이기 때문에 알레르기 비염 환자나 예민한 피부를 가진 사람은 특히나 조심해야 한다. 실제로 염화칼슘은 습기를 빨아들이고, 발열하는 성질을 가진다. 염화칼슘이 미세먼지와 섞여 호흡기를 통해 몸속에 들어오면 코 점막에 염증을 일으킨다. 피부에 닿으면 가려움, 붉은 반점 등이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