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손 '이렇게' 떨린다면, 파킨슨병 의심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 김주성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2022/09/28 17:14
◇가만히 있을 때, 한 손만 떨림=파킨슨병
가만히 있을 때 손이 떨리고, 손에 힘을 주거나 몸을 움직일 때 떨림이 사라지면 파킨슨병을 의심해볼 수 있다. 파킨슨병은 신체 동작에 관여하는 도파민이라는 신경세포가 부족해지면서 근육이 굳는 질환이다. 또한 파킨슨병 때문에 생기는 손 떨림은 비대칭적으로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다. 처음에는 한쪽 손만 떨리다가 수개월이나 1~2년 뒤에 반대편 손도 떨리는 식이다. 파킨슨병으로 인한 손 떨림은 레포도파, 도파민작용제 등의 약물로 완화시킬 수 있다.
◇맥박 빨라지며 손 떨림=갑상선기능항진증
갑상선기능항진증은 갑상선호르몬이 과도하게 분비돼 생기는 질환으로, 손이 떨릴 수 있다. 갑상선호르몬은 체온과 신진대사에 관여하는데, 분비량이 많아지면 교감 신경이 활발해진다. 따라서 가슴이 두근거리며 맥박이 빨라지고 미세한 손 떨림이 나타난다. 이런 경우, 갑상선기능항진증을 치료하면 손 떨림도 사라진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은 혈액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고, 항갑상선제나 방사성 요오드를 복용해 치료한다. 증상이 심하면 갑상선을 절제하기도 한다.
◇숟가락질하거나 팔 뻗을 때 떨림=본태성 떨림
숟가락질하거나 팔을 앞으로 쭉 뻗을 때 손이 떨리면 본태성 떨림 때문이다. 본태성 떨림은 소뇌의 운동조절능력이 떨어져 생기는 것으로, 손뿐 아니라 머리와 몸통, 목소리도 떨릴 수 있다. 본태성 떨림은 프로프라놀롤과 프리미돈 등의 약물을 사용해 치료할 수 있다. 일부 본태성 떨림 환자 중에는 떨림의 강도가 심해 식사나 옷 입기 등의 일상생활을 혼자서 할 수 없고 약물 치료로도 낫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소뇌의 운동회로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뇌심부자극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특정 작업할 때만 떨림=작업 특이성 떨림
평소에는 아무런 이상이 없다가 글씨를 쓰거나 악기를 연주할 때, 휴대폰으로 문자를 할 때 등 특정 작업을 할 때만 손 떨림이 발생하는 것을 '작업 특이성 떨림'이라고 한다. 작업 특이성 떨림은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보툴리눔 독소 주사 등으로 치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