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비인후과
딱딱하게 마른 코딱지… 잘 제거하는 법
전종보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09/08 07:00
건조한 시기일수록 콧속에 코딱지가 생기기 쉽다. 코딱지는 코에 들어온 이물질이 콧속 점액과 뭉치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건조한 환경에서는 콧속 또한 건조해져 코딱지 양이 늘어난다. 시간이 지나면 코딱지가 딱딱하게 마르기도 한다.
코딱지를 제거할 때는 무리하게 힘을 줘선 안 된다. 마른 코딱지를 강제로 떼기도 하는데, 이 같은 행동은 콧속에 상처가 생기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코는 바이러스가 신체로 침투하는 통로 중 하나로, 내부에 상처가 생기면 방어시스템이 무너져 외부 이물질을 제대로 막지 못하고 바이러스 등이 모세혈관층으로 들어가 여러 감염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손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은 상태에서 코를 파는 경우에도 바이러스가 코를 통해 몸 안으로 침투할 수 있으며, 손톱이 콧속을 세게 긁으면 출혈이 발생하기도 한다.
코딱지가 생겼다면 양손에 물을 받아 코앞에 댄 후 물을 살짝 빨아들였다 다시 배출하도록 한다. 특히 코딱지가 딱딱해졌을 때 이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코딱지가 물에 젖어 부드러워지고 쉽게 떨어질 수 있다. 마르지 않은 코딱지는 코를 풀 때 콧물과 함께 배출될 수 있으며, 식염수 스프레이로 코딱지를 불려서 제거하는 것도 방법이다.
가을철 코딱지를 줄이고 싶다면 콧속 점막을 촉촉하게 유지해야 한다. 바셀린이나 파라핀 성분 연고를 얇게 바르고, 실내 습도는 40~60% 정도로 맞추도록 한다. 물을 자주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된다. 연고를 바를 때는 손을 깨끗이 씻은 뒤 새끼손가락에 묻혀 넓게 펴 바르면 된다. 면봉으로 콧구멍 입구 바로 안쪽에 바르고 손으로 양 콧방울을 눌러 바셀린이 퍼지도록 하는 것도 방법이다. 코딱지는 양쪽 콧구멍 사이 ‘비중격’ 옆면에 잘 생기므로, 이 부분을 중점적으로 바르는 것이 좋다.
한편, 평소와 달리 코딱지가 수분이 없고 거무스름한 초록색을 띤다면 ‘위축성 비염’을 의심할 필요가 있다. 코딱지는 대부분 불투명한 흰색 또는 옅은 노란색을 띤다. 그러나 위축성 비염이 있으면 코 점막이 마르고 위축돼 녹색 코딱지와 함께 코에서 악취가 날 수 있다. 코피가 나거나 코와 목구멍에 이물감이 느껴지기도 한다. 증상을 완화하려면 주변 온도·습도를 잘 조절하고, 따뜻한 생리식염수로 코를 세척하도록 한다. 비타민A와 철분을 보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코딱지를 제거할 때는 무리하게 힘을 줘선 안 된다. 마른 코딱지를 강제로 떼기도 하는데, 이 같은 행동은 콧속에 상처가 생기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코는 바이러스가 신체로 침투하는 통로 중 하나로, 내부에 상처가 생기면 방어시스템이 무너져 외부 이물질을 제대로 막지 못하고 바이러스 등이 모세혈관층으로 들어가 여러 감염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손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은 상태에서 코를 파는 경우에도 바이러스가 코를 통해 몸 안으로 침투할 수 있으며, 손톱이 콧속을 세게 긁으면 출혈이 발생하기도 한다.
코딱지가 생겼다면 양손에 물을 받아 코앞에 댄 후 물을 살짝 빨아들였다 다시 배출하도록 한다. 특히 코딱지가 딱딱해졌을 때 이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코딱지가 물에 젖어 부드러워지고 쉽게 떨어질 수 있다. 마르지 않은 코딱지는 코를 풀 때 콧물과 함께 배출될 수 있으며, 식염수 스프레이로 코딱지를 불려서 제거하는 것도 방법이다.
가을철 코딱지를 줄이고 싶다면 콧속 점막을 촉촉하게 유지해야 한다. 바셀린이나 파라핀 성분 연고를 얇게 바르고, 실내 습도는 40~60% 정도로 맞추도록 한다. 물을 자주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된다. 연고를 바를 때는 손을 깨끗이 씻은 뒤 새끼손가락에 묻혀 넓게 펴 바르면 된다. 면봉으로 콧구멍 입구 바로 안쪽에 바르고 손으로 양 콧방울을 눌러 바셀린이 퍼지도록 하는 것도 방법이다. 코딱지는 양쪽 콧구멍 사이 ‘비중격’ 옆면에 잘 생기므로, 이 부분을 중점적으로 바르는 것이 좋다.
한편, 평소와 달리 코딱지가 수분이 없고 거무스름한 초록색을 띤다면 ‘위축성 비염’을 의심할 필요가 있다. 코딱지는 대부분 불투명한 흰색 또는 옅은 노란색을 띤다. 그러나 위축성 비염이 있으면 코 점막이 마르고 위축돼 녹색 코딱지와 함께 코에서 악취가 날 수 있다. 코피가 나거나 코와 목구멍에 이물감이 느껴지기도 한다. 증상을 완화하려면 주변 온도·습도를 잘 조절하고, 따뜻한 생리식염수로 코를 세척하도록 한다. 비타민A와 철분을 보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