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임신 전 술 좋아했다면… 거대아 출산 위험
신은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09/03 18:00
국립보건연구원 김원호 박사 연구팀은 '한국인 임신 등록 코호트'를 활용해 ‘임신 전 산모의 음주가 태아 발달 이상을 통한 거대아 출산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거대아란 아기 출생 몸무게가 4000g 이상인 경우다. 출산 중 산모 출혈은 물론, 아기의 유아기 비만과 성인기 당뇨, 고혈압, 비만, 대사증후군 발생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국가에서는 임신 중인 산모가 술을 마시는 비율은 매우 낮은 1~5% 수준이다. 대부분의 산모가 임신 사실을 알게 되고 나서 음주를 중단하거나 음주량을 크게 줄인다.
그러나 가임기 여성의 음주율 자체는 급증하고 있다. 2019년 기준, 19~29세와 30~39세 여성 월간폭음률(최근 1년간 월 1회 이상, 한번의 술자리에서 5잔 이상 음주)은 각 44.1%와 26.2%였다. 1회 평균음주량이 5잔 이상이며, 주 2회 이상 술을 마시는 고위험 음주율도 각각 9.0%와 8.1%이다.
이 같은 임신 전 고위험 음주는 거대아 발생 위험을 2배 이상 높인다. 연구팀이 한국인 임신코호트를 활용해 분석한 연구 결과, 임신 전 고위험음주군의 거대아 발생률은 7.5%로, 비음주군 2.9%, 일반 음주군 3.2%에 비해 2.5배 이상 높았다.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이번 연구 결과는 임신 중 음주의 위험성과 함께, ‘임신 전 음주’ 역시 태아 발달 이상을 통한 거대아 출산 위험을 높인다는 직접적 근거를 한국인 임신 코호트를 통해 처음으로 제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권 원장은 "앞으로 가임기 여성의 장기간 임신 전 음주도 산모와 태아의 건강, 출생 후 아기의 성장발육 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위험성 관련 교육·홍보 자료 등에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임상역학(Clinical Epidemiology) 분야의 국제학술지인 ‘플로스 원(PLOS One)’의 2022년 8월 온라인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