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의학과
[잘.비.바] 지방 흡입술하면 다른 부위에 지방 더 많이 침착
김주영 대한비만학회 교육위원회(분당서울대병원)
입력 2022/07/28 07:45
[대한비만학회-헬스조선 공동기획] 잘못된 비만 상식 바로잡기(잘.비.바) 29편
지방조직은 지방세포로 불리는 세포들이 모여있는 곳이다. 인간의 긴 진화 기간동안 지방조직의 가장 주된 역할은 에너지 저장고로의 기능이다 . 과거 굶주리고 음식을 구하기 쉽지 않던 어려운 시기에 지방조직은 음식 섭취가 부족하거나 없어도 생존을 이어나가도록 해준 중요한 조직이었다. 그러나 최근 40년간 또다른 형태의 영양 불균형인 비만이 전세계에 급속히 확산되었다 . 비만은 단순히 체격의 문제가 아니라 당뇨, 심근경색, 뇌졸중, 그리고 폐경 후 유방암이나 대장암 등의 원인으로 작용하였고 최근 전세계적으로 사망의 중요한 원인이 되기 시작했다. 또한 최근의 코로나 판데믹에서도 드러나듯이 비만의 경우 같은 감염이라도 사망률과 중증률이 더 올라갔다. 비만은 의지박약과 동일시 되었으며 사회적 편견과 차별의 신호로 작용하기 시작했고 사회경제적 상태가 낮을수록 비만율은 더 높아지기 시작했다. 따라서 비만 관리는 질병 치료보다는 편견을 줄이고자 하는 미용적 목적의 시술이나 치료가 더 먼저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우리나라는 1990년대부터 지방 흡입술이 성행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비만치료라기보다는 미용을 위한 체형 시술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지방조직은 단순히 지방덩어리들이 모인 조직이 아니라 지방세포들의 공간인데, 지방세포들은 몸에서 호르몬 기능을 조절하고 음식 섭취에 영향을 주며 성장을 조절하며 면역반응과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적극적이고 중요한 내분비호르몬 기관임이 많은 연구들을 통해 드러나게 되었다 . 또한 지방세포가 있는 위치에 따라 하는 역할이 매우 다르다는 것도 밝혀져 있다. 즉 엉덩이나 허벅지 쪽의 피하지방이 하는 일과 내장지방이 하는 일은 큰 차이가 있다. 그리고 지방세포는 성인이 되면 마치 체온처럼 늘 일정한 개수를 유지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즉, 소아 청소년기에는 비만이 동반되면 지방세포 개수가 늘면서 동시에 비대도 일어나는데 비해, 성인이 되면 지방세포 개수에는 변화가 없고 비대가 동반된다.
그럼 지방흡입을 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 보통 지방흡입은 피하지방을 타겟으로 해서 적게는 턱밑 지방, 팔뚝살, 옆구리살 등의 시술을 하게 되고 복부나 하체 쪽 지방흡입술은 꽤 많은 양의 피하지방을 뽑게 된다. 아직 논란이 많고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진 않았으나 보고에 따르면 지방흡입술을 받고 1년 정도 되면 체중이 거의 원래대로 돌아가며, 지방흡입술을 받지 않은 상대적인 다른 피하조직에 더 많이 지방이 침착되는 것으로 보고가 되어 있다. 즉 원래 있던 지방 조직은 제거되었으나 지방세포 총량 불변의 법칙에 따라, 제거된 부위의 지방세포는 비대해지고 다른 부위의 지방 조직에서 세포 개수와 비대가 진행되어 지방이 영구히 없어지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또다른 문제는 지방흡입으로 피하지방이란 보호층을 제거한 뒤에 상대적으로 내장지방 증가가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이는 혈관질환이나 당뇨 등의 대사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건강상의 문제가 더 커질 가능성도 있어보인다.
지방조직은 단순히 지방덩어리들이 모인 조직이 아니라 지방세포들의 공간인데, 지방세포들은 몸에서 호르몬 기능을 조절하고 음식 섭취에 영향을 주며 성장을 조절하며 면역반응과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적극적이고 중요한 내분비호르몬 기관임이 많은 연구들을 통해 드러나게 되었다 . 또한 지방세포가 있는 위치에 따라 하는 역할이 매우 다르다는 것도 밝혀져 있다. 즉 엉덩이나 허벅지 쪽의 피하지방이 하는 일과 내장지방이 하는 일은 큰 차이가 있다. 그리고 지방세포는 성인이 되면 마치 체온처럼 늘 일정한 개수를 유지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즉, 소아 청소년기에는 비만이 동반되면 지방세포 개수가 늘면서 동시에 비대도 일어나는데 비해, 성인이 되면 지방세포 개수에는 변화가 없고 비대가 동반된다.
그럼 지방흡입을 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 보통 지방흡입은 피하지방을 타겟으로 해서 적게는 턱밑 지방, 팔뚝살, 옆구리살 등의 시술을 하게 되고 복부나 하체 쪽 지방흡입술은 꽤 많은 양의 피하지방을 뽑게 된다. 아직 논란이 많고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진 않았으나 보고에 따르면 지방흡입술을 받고 1년 정도 되면 체중이 거의 원래대로 돌아가며, 지방흡입술을 받지 않은 상대적인 다른 피하조직에 더 많이 지방이 침착되는 것으로 보고가 되어 있다. 즉 원래 있던 지방 조직은 제거되었으나 지방세포 총량 불변의 법칙에 따라, 제거된 부위의 지방세포는 비대해지고 다른 부위의 지방 조직에서 세포 개수와 비대가 진행되어 지방이 영구히 없어지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또다른 문제는 지방흡입으로 피하지방이란 보호층을 제거한 뒤에 상대적으로 내장지방 증가가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이는 혈관질환이나 당뇨 등의 대사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건강상의 문제가 더 커질 가능성도 있어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