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심한 생리통·난임 유발 '자궁선근증' 원인 찾았다
신은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07/26 13:13
국내 연구진이 비정상적인 출혈과 극심한 생리통, 골반통, 난임 등을 유발하는 자궁선근증의 원인을 찾았다. 이 같은 산부인과 질환의 원인은 자궁내막의 문제로만 알려졌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자궁근육에서 지나치게 많이 발현된 혈관내피성장인자가 실제 원인임이 밝혀진 것이다.
노원을지대병원 산부인과 권용순·곽재영 교수팀은 최근 혈관내피성장인자(VEGF)가 자궁근육층에서 과다하게 발현되는 현상이 자궁선근증의 새로운 발병기전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혈관내피성장인자는 우리 몸에서 조직이 자라나는 데 꼭 필요한 신생혈관을 만들어낸다. 미세혈관을 증식시키며 조직을 키우는 특성을 가져 암세포 크기를 키우는 인자로도 알려졌다.
연구팀은 이러한 혈관내피성장인자가 자궁 근육층에서 과다하게 발현됐을 때도 암세포를 키우듯, 자궁 크기를 증가시켜 선근증을 유발할 것이란 가설을 세우고, 자궁조직을 비교했다.
자궁선근증이 있는 환자에게서 채취한 자궁내막, 자궁근층, 자궁선근증 60개의 조직에 대해 면역화학 조직염색, PCR 검사, 단백질 전기영동 검사 등 세 가지 검사를 시행, 혈관내피성장인자의 분포를 살폈다.
그 결과 자궁내막보다 자궁근층과 자궁선근증이 있는 병변에서 혈관내피성장인자가 더 많이 검출됐다. 반면, 자궁선근증 병변과 정상 자궁근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즉, 자궁선근증이 있는 환자의 자궁에서 증상을 유발하는 원인은 오히려 자궁근육층의 변화임을 알 수 있다.
노원을지대학교병원 산부인과 권용순 교수는 “그동안 연구들은 자궁선근증의 발병기전을 자궁의 가장 안쪽인 자궁내막의 침투요인에서 발생한다는 것에만 초점을 맞춰왔다"고 했다. 권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자궁내막이 두꺼워지는 근본적인 원인 중 하나로 혈관내피성장인자도 관여하고 있음을 임상적으로 새롭게 밝혔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Clinical and Experimental Obstetrics and Gynecology, CEOG 6월호에 게재됐다.
노원을지대병원 산부인과 권용순·곽재영 교수팀은 최근 혈관내피성장인자(VEGF)가 자궁근육층에서 과다하게 발현되는 현상이 자궁선근증의 새로운 발병기전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혈관내피성장인자는 우리 몸에서 조직이 자라나는 데 꼭 필요한 신생혈관을 만들어낸다. 미세혈관을 증식시키며 조직을 키우는 특성을 가져 암세포 크기를 키우는 인자로도 알려졌다.
연구팀은 이러한 혈관내피성장인자가 자궁 근육층에서 과다하게 발현됐을 때도 암세포를 키우듯, 자궁 크기를 증가시켜 선근증을 유발할 것이란 가설을 세우고, 자궁조직을 비교했다.
자궁선근증이 있는 환자에게서 채취한 자궁내막, 자궁근층, 자궁선근증 60개의 조직에 대해 면역화학 조직염색, PCR 검사, 단백질 전기영동 검사 등 세 가지 검사를 시행, 혈관내피성장인자의 분포를 살폈다.
그 결과 자궁내막보다 자궁근층과 자궁선근증이 있는 병변에서 혈관내피성장인자가 더 많이 검출됐다. 반면, 자궁선근증 병변과 정상 자궁근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즉, 자궁선근증이 있는 환자의 자궁에서 증상을 유발하는 원인은 오히려 자궁근육층의 변화임을 알 수 있다.
노원을지대학교병원 산부인과 권용순 교수는 “그동안 연구들은 자궁선근증의 발병기전을 자궁의 가장 안쪽인 자궁내막의 침투요인에서 발생한다는 것에만 초점을 맞춰왔다"고 했다. 권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자궁내막이 두꺼워지는 근본적인 원인 중 하나로 혈관내피성장인자도 관여하고 있음을 임상적으로 새롭게 밝혔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Clinical and Experimental Obstetrics and Gynecology, CEOG 6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