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과

발바닥에 생긴 굳은살, 티눈 의심해야 할 때는?

전종보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티눈은 굳은살과 달리 윗부분 각질을 도려내면 딱딱한 ‘핵’​이 나온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발에 굳은살이 생기면 티눈이나 사마귀가 아닐까 우려하게 된다. 굳은살과 티눈·사마귀는 증상과 모양이 모두 다르지만, 자세히 확인하지 않으면 큰 차이를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문제는 제대로 구분하지 못해 방치하거나 잘못 제거할 경우, 정상적으로 제거가 안 되고 악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굳은살·티눈·사마귀의 특징과 치료법 등에 대해 알아본다.

굳은살
굳은살은 피부에 압력이 반복·지속되면서 나타난다. 피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각질층이 증식하는데, 이 과정에서 피부가 단단하고 두꺼워지면서 굳은살이 생기는 것이다. ​굳은살은 발을 씻은 뒤 완전히 건조시킨 후, 표면이 거칠거칠한 각질 제거기를 이용해 제거해야 한다. 함부로 잘라낼 경우 정상 피부까지 손상되거나 세균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굳은살 범위가 넓거나 통증이 동반된 경우에는 피부과 진료를 받도록 한다.

티눈
티눈 또한 마찰·압력 등과 같은 자극이 원인이다. 주로 자극을 많이 받는 발에 생긴다. 자극이 넓은 부위에 작용하면 굳은살이 되지만, 좁은 부위에 집중될 경우 티눈이 된다. 티눈을 방치하면 발을 디딜 때마다 통증이 발생한다. 심하면 염증이 유발되기도 한다. 티눈의 특징은 윗부분의 각질을 도려냈을 때 딱딱한 ‘핵’​이 나온다는 것이다. 치료를 위해서는 피부 각질을 용해하는 살리실산, 젖산 도포제, 티눈 연고 등을 사용해야 한다. 각질을 연하게 만든 뒤 깨끗한 면도날 등으로 조심스럽게 깎아내는 식이다. 제거한 뒤에는 반드시 소독해야 한다. 병원에서는 레이저 치료를 실시하기도 한다.

사마귀
티눈이나 굳은살 같지만 점점 수가 점점 늘어난다면 사마귀일 가능성이 높다. 사마귀는 인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이 원인으로, 눌렀을 때 통증이 있으며 돌출된 피부 안에 혈관이 그대로 있다. 이로 인해 겉에서 봤을 때 혈관이 검은 점처럼 보이곤 한다. 사마귀는 감염이 쉬우므로  처음부터 병원 치료를 받는 게 좋다. 무작정 손으로 뜯으면 출혈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이미지

사진=조선일보 DB













嶺뚮씭�섓옙占� �곌랬�� �좎럥�삼옙占�

�좎떬�낅츩�브퀗�h땻占� �좎럩裕놅옙��쇿뜝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