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꺼억' 잦은 트림, 소화 아닌 '질환' 신호

전종보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잦은 트림이나 지나치게 큰 트림 소리는 소화불량이나 위식도 역류질환 등의 신호일 수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식사 후 물이나 탄산음료를 마시면 자연스럽게 트림이 나오곤 한다. 트림은 위 안의 가스를 배출하는 생리 현상으로, 식도를 열어 가스를 배출함으로써 위 부피가 줄고 더부룩함·복부팽만과 같은 증상이 완화될 수 있다. 간혹 크게 트림한 후 ‘소화가 잘 됐다’고 생각하기도 하는데, 이는 복부팽만감이 줄면서 받는 느낌일 뿐 실제 소화가 잘 됐다고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트림이 너무 잦거나 소리가 클 경우 소화불량, 락타아제 결핍, 위신경증과 같은 문제를 의심할 필요가 있다.

정상적인 트림 횟수는 일평균 20~30회 정도다. 이보다 트림을 많이 할 경우 위 기능이 저하된 ‘기능성 소화불량증’일 수 있다. 소화불량증이 있으면 위가 조금만 차도 더부룩함을 느끼고, 이로 인해 계속해서 의도적으로 트림을 하려 한다. 그러나 트림을 자주 하면 위산이 식도로 올라오면서 역류성식도염을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트림 횟수가 지나치게 많을 경우 ‘락타아제’ 결핍이나 위신경증 또한 의심할 필요가 있다. 락타아제는 소화기관에서 유당을 분해할 때 필요한 효소로, 결핍될 경우 유당이 주성분인 식품들을 소화하지 못하고 위장에 가스가 차게 된다. 위신경증은 기질적인 원인 없이 심리적 원인으로 인해 위 기능장애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로 인해 이유 없이 위의 운동·분비·지각 등에 문제가 생기면 신경성 트림·구토와 식욕부진·역류증 등이 나타난다.

이밖에 정신적인 문제에 의해서도 트림이 자주 나올 수 있다. 정서가 불안정하면 무의식적으로 공기를 위까지 보내지 않고 식도에서 내뱉기 때문이다. 이 경우 트림에서 냄새가 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너무 큰 트림 소리는 위식도 역류질환·과민성대장증후군·위궤양 증상이기도 하다. 또한 횡격막 안에 있는 식도 열공이 확장돼 위 일부가 흉강 안으로 들어간(열공탈장) 경우에도 트림 소리가 커질 수 있다. 이 같은 질환이 있으면 구역·구토 증상을 동반하거나 배변 습관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

트림장애는 원인에 따라 치료법이 다르다. 질환이 원인인 경우 적합한 치료를 받아야 하며, 식습관 때문이라면 식사를 천천히 하고 음식을 잘게 씹어 삼키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껌·사탕·탄산음료는 가급적 멀리하고, 증상이 심하면 위의 운동성을 높이는 위장운동촉진제를 처방받아 복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정신적인 문제로 트림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잘못된 호흡법을 교정하는 ‘인지행동치료’나 공기가 식도로 들어오지 않도록 하는 발성법을 익히는 ‘언어 치료’가 시행되기도 한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