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
많이 먹으면 문제인 오메가6, '이 기름' 먹으면 안전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1/12/07 22:00
오메가3의 건강 효과는 익히 알려져 있다. 그에 비해 오메가6에 대한 관심은 덜하다. 무엇을 얼마나 먹는 게 좋을까?
오메가6는 오메가3와 마찬가지로 불포화지방산의 일종이며, 인체 내에서 합성되지 않기 때문에 음식으로 섭취해야 한다. 혈액순환 개선과 비만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두뇌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해준다. 월경 전 증후군과 생리통을 완화하는 효과도 있다.
오메가3와 달리 오메가6는 굳이 영양제로 보충할 필요는 없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먹는 음식에서 이미 충분한 오메가6를 섭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과다 섭취가 문제다. 오메가3에 섭취량에 비해 오메가6를 너무 많이 섭취하면 오히려 우리 몸에 해가 된다. 염증이나 혈전(혈액이 뭉친 덩어리)을 유발할 수 있다. 오메가6 과다 섭취는 각종 질병을 유발한다는 해외 연구 결과도 많다.
오메가6를 섭취할 때는 오메가3와의 적정 비율을 유지하는 게 좋다. 오메가3와 오메가6의 비율이 1:4 정도이면 적당하다. 오메가3의 일일 권장량이 500~2000㎎임을 감안하면, 오메가6는 2000~8000㎎ 정도다.
미국건강영양센터에 따르면 현대인은 오메가3와 오메가6 섭취 비율이1:10~1:25 정도로 오메가6를 과다하게 먹고 있다고 한다. 대부분의 식물성 기름이 오메가6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 옥수수유의 오메가3와 오메가6 비율은 1:58, 해바라기유는 0:365이다. 땅콩 오일(1:5)이나 카놀라유(1:2)는 오메가3와 오메가6의 비율이 적절하다.
하루 식단에서 과도한 오메가6의 섭취가 걱정된다면 오메가3의 섭취를 더 늘리는 것도 방법이다. 오메가3는 심해어(연어, 꽁치, 정어리, 고등어 등), 카놀라유, 들기름에 많이 함유돼 있다. 우리나라 사람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들기름이 있다. 들기름은 61.3%가 오메가3다. 1주일에 2~3번 등푸른 생선 섭취를 통해 오메가3 지방산을 보충하면 오메가3와 오메가6의 비율을 권장량으로 맞출 수 있다. 아욱, 케일, 쑥, 미나리 같이 잎이 많은 채소들에도 식물성 오메가3가 풍부하게 들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