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비인후과

귀에서 심장박동 소리가… 무슨 문제길래?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박동성 이명은 주로 귀 주변의 큰 정맥(머리에서 심장으로 가는 혈관)이 한쪽이 비대칭적으로 큰 경우에 생길 수 있다./클립아트코리아 제공

귀에서 심장박동 소리와 같이 두근거리는 소리가 나는 사람이 꽤 있다. 이를 ‘박동성 이명’이라고 한다.

박동성 이명은 심장박동 소리가 귀에서 들리기 때문에 공포심을 느끼기 쉽다. 누웠을 때나 특정 방향으로 고개를 돌렸을 때 더 커져서 잠을 청하는 데도 방해가 된다.

박동성 이명은 왜 생길까?

박동성 이명은 귀 근처, 혹은 머리 속의 큰 혈관에서 비롯된다. 이명연구회에 따르면 박동성 이명은 주로 귀 주변의 큰 정맥(머리에서 심장으로 가는 혈관) 중 한쪽이 비대칭적으로 큰 경우에 생길 수 있다. 이 정맥을 둘러싸고 있는 뼈가 얇아지거나 일부가 결손이 되면 혈관을 지나가는 피의 흐름에 와류(소용돌이 치는 흐림)가 발생하고, 이 와류에 의해 발생한 소리가 귀에서 감지되면서 맥박 소리를 느끼게 되는 것이다. 정맥이 아닌 동맥이나 동정맥루(동맥과 정맥이 연결되어 혈류가 모세혈관을 거치지 않고 두 혈관 사이로 흐르는 상태)에 의해서도 박동성 이명이 발생할 수 있다. 혈관의 구조에는 문제가 전혀 없지만 머릿 속 혈압이 증가해서 맥박소리가 귀로 전달돼 들리는 경우도 있고, 반고리관의 뼈에 결손이 있는 경우에도 박동성 이명이 들릴 수 있다.

박동성 이명은 수 주~ 수 개월 내로 사라진다. 그 이상 계속 된다면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 정맥 문제로 생기는 경우가 가장 많기 때문에 진단을 위해서는 측두골 CT 촬영을 기본적으로 실시한다. 동맥의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머리 MRI·MRA 검사를 시행한다. 드물게 뇌혈관 조영술 검사를 시행하기도 한다.

치료는 경과를 지켜보는 것이 우선이다. 분당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송재진 교수는 "박동성 이명이 작아지거나 소실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라며 “그러나 뇌 안의 동정맥루가 원인이라면 방치해서 나중에 큰 문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박동성 이명이 수주 이상 지속된다면 이비인후과 전문의를 찾아 상담을 받고 필요한 검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癲ル슢��옙�볦삕�좑옙 占쎄퀗�э옙占� 占쎌쥙�ο옙�쇱삕�좑옙

占쎌쥙�э옙�낆릇占쎈툕�쀯옙節덈빝�좑옙 占쎌쥙�⑵짆�낆삕占쏙옙�용쐻�좑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