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칼럼

[의학칼럼] 심한 생리통부터 난임까지, 가임기 여성 위협하는 자궁내막증

김탁 고대안암병원 산부인과 교수(대한자궁내막증학회장)​

이미지

김탁 고대안암병원 산부인과 교수​

자궁은 생명을 품고 자라게 하고 세상으로 이끄는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인 동시에, 여성의 신체적 건강 수준을 드러내는 바로미터가 되기도 한다. 보통의 가임기 여성이라면 월경 주기에 따라 2~3일 정도 복부나 허리에 생리통을 경험하는데, 이에 그치지 않고 통증이 심하게 지속되거나 만성골반통, 성교통 등을 겪는다면 무심코 넘기지 말고 자궁과 관련된 기저질환이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아야 한다.

특히 가임기 여성 열 명 중 한 명이 경험할 정도로 발병률이 높은 자궁내막증은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외 장기에 위치하는 질환으로 최근 5년간 환자가 약 50%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경우 자궁내막증으로 인해 발생한 통증을 단순 생리통으로 오인해 장기간 방치하다 발견이 늦어지기 쉬운데, 이런 점은 여성의 삶의 질을 심각하게 해치는 것은 물론, 의학적으로도 위험 부담이 늘어난 상태에서 치료를 시작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자궁내막증은 단계가 진행될수록 주변 장기들과 병변이 유착되어 굳어지는 섬유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자궁의 해부학적 변형이 나타날 수 있다. 질병의 단계가 이 정도 수준까지 진행된 후에는 수술을 해도 경과가 좋지 않을 수 있고, 재발의 위험성도 높아질 수 있어, 이런 상태까지 참다 내원하는 경우의 환자를 만날 때면 의료진 입장에서도 너무도 안타까웠다.

무엇보다, 자궁내막증이 여성의 삶에 끼치는 심각한 위협 중 하나는 바로 난임의 원인이 된다는 점이다. 난임 여성의 절반 가까운 비율이 자궁내막증을 동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자궁내막증 환자의 난포는 대부분 임신능력이 감소되어 있으며, 난소에 자궁내막증이 있는 경우 그 자체로 난소 예비력(건강한 미성숙 난자의 총 수)이 감소된다. 또한 자궁내막증으로 인해 호르몬 및 세포 내 기능이 변화하면서 수정된 배아가 자궁 내로 착상되는 과정을 방해하기에, 임신을 원하는 경우 자궁내막증이 있다면 반드시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

자궁내막증은 조기에 진단될 경우 약물로도 우수한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초음파와 같은 비침습적 영상기기로 자궁내막증을 충분히 진단할 수 있으며, 약물 치료 시 보험 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약물 또한 복용을 중단할 경우 재발의 위험이 높기에, 꾸준히 복용하며 치료와 관리를 이어 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빠른 발견과 진단, 꾸준한 치료는 자궁내막증을 극복하는 최선의 방법이다. 더 많은 여성들이 자궁내막증이 가져오는 위험에서 벗어나 통증으로부터 해방되고, 임신을 원하는 경우 천사 같은 생명을 기쁘게 맞이하길 바란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