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똑같이 더운데… 유독 땀 많다면 ‘이것’ 때문일 수도

전종보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밥을 먹거나 잠을 잘 때 등 특정 상황에 따라 유독 많은 땀을 흘린다면 체질적인 문제가 아닐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기온이 오르면 평소보다 많은 양의 땀을 흘리게 된다. 여름철 체온 조절과 노폐물 배출을 위해서는 땀을 흘리는 게 좋지만, 지나치게 많은 땀을 흘리는 경우에는 문제가 될 수 있다. 특히 잠을 자거나 식사할 때 등 특정 시기에 유독 땀을 많이 흘린다면 체질적으로 땀이 많은 것이 아닌 건강 이상 신호일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자면서 땀 ‘뻘뻘’
잘 때 코를 심하게 골면서 땀을 많이 흘린다면 수면무호흡증일 수 있다. 숙면을 위해서는 수면 중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돼야 하는데, 수면무호흡증이 있을 경우 교감신경이 활성화돼 혈압·맥박이 올라가고 식은땀을 많이 흘리게 된다. 불안장애 역시 교감신경·부교감신경 균형이 깨져 수면 중 땀을 많이 흘리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불안장애가 있는 경우 식은땀과 함께 두근거림, 어지러움, 숨 가쁨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이밖에 갑상선기능항진증과 같은 갑상선 질환이 생긴 경우에도 갑상선 호르몬이 과도하게 만들어져 잘 때 많은 땀을 흘린다.

한 숟갈 뜰 때마다 땀 닦는다면
맵거나 뜨거운 음식을 먹으면 누구나 조금씩 땀을 흘린다. 음식 속 영양소가 소화되면 몸에서 열이 발산돼 체온이 오르고 중심 체온으로 다시 낮추기 위해 땀이 분비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식사 중 이마, 콧등, 가슴 등에 비 오듯 과도한 땀이 쏟아지면 ‘미각성다한증’을 의심해야 한다. 미각성다한증은 땀샘으로 가는 교감신경에 문제가 생겨, 침샘으로 가는 부교감신경이 땀샘으로 연결돼 발생하는 질환이다. 보톡스 등으로 치료할 수 있지만, 치료 후에도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만큼 평소 맵고 자극적인 음식은 삼가는 게 좋다.

갑작스런 발열과 함께 나는 땀
감기, 폐렴과 같은 감염질환 역시 몸에 염증반응을 일으켜 발열 증상과 함께 땀이 나도록 한다. 염증반응이 생기면 체온이 높아질 수 있는데, 이때 체온을 낮추기 위해 땀이 배출되는 것이다. 이는 정상적인 생리 작용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감기, 폐렴이 아님에도 갑작스러운 발열과 함께 많은 땀을 흘린다면 혈액악성종양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주로 혈액악성종양 초기에 이 같은 증상이 나타나며, 증상이 지속되고 빈혈 등 다른 증상을 추가로 동반한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 검사·치료받아야 한다.




�꿔꺂��옙占쎌삕占쎈낌�뺧옙醫묒삕 �좎럡�쀯옙��쇿뜝占� �좎럩伊숋옙恝�숋옙�깆굲占쎌쥜��

占쎌쥙�э옙�낆릇占쎈툕�쀯옙節덈빝�좑옙 占쎌쥙�⑵짆�낆삕占쏙옙�용쐻�좑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