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퉁퉁' 부은 손, 방치했다 요로결석·신부전까지…
전혜영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1/05/11 08:00
손이나 발이 퉁퉁 부어오르는 것은 '통풍(痛風)'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다. 통풍으로 관절 마디가 붓는 증상은 며칠 두면 자연히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증상이 나아졌다고 해서 방치했다간 병이 점점 진행되며, 결국엔 참기 어려운 '극심한' 통증까지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실제 통풍이라는 병명은 '바람만 스쳐도 아프다'는 의미로 지어졌다.
통풍은 혈액 내 '요산' 농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만들어진 결정이 관절 주변에 쌓이는 질환을 말한다. 요산이란 음식을 통해 섭취한 '퓨린'을 인체가 대사하고 남은 산물이다. 요산 결정이 연골, 힘줄, 주변 조직에 쌓일수록 관절 염증이 심해진다. 처음엔 붓거나 경미한 통증만을 동반하지만, 많이 쌓일수록 극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심하면 신장이나 요로에도 결석이 생긴다.
과거에 통풍은 주로 노인 남성에게만 잘 생기는 질환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최근엔 식습관의 변화로 젊은 남성이나 여성에게도 발병하곤 한다. 퓨린이 다량 함유된 음식(새우젓, 맥주, 동물 내장 등)을 장기간 다량 섭취하거나 림프종, 백혈병, 횡문근융해증 등 질병으로 인해 요산 생성이 많아지는 것 등이 원인으로 추측된다. 아스피린이나 이뇨제 복용도 원인이 될 수 있다.
통풍은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질환과 마찬가지로 완치가 아닌 관리의 개념으로 치료해야 한다. 혈중 요산을 떨어트리는 약을 복용하며 요산 농도를 5mg/dL 이하로 유지되도록 관리하면 통풍으로 인한 발작과 치명적인 합병증도 예방할 수 있다. 약만 먹으면 큰 걱정 없이 살아갈 수 있지만, 증상이 나아졌다고 해서 약을 복용하지 않으면 언젠가는 또다시 통풍이 재발한다.
만약 통풍을 10년 이상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관절이 완전히 망가져 장애를 유발할 가능성도 있다. 관절뿐 아니라 온몸의 혈압과 콩팥에도 요산이 쌓이며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심혈관질환, 신부전 등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가능성도 큰 것으로 보고된다. 이처럼 통풍은 단순히 고통스러운 질환이 아닌,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는 질환이므로 지속적인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