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

인공눈물 '듬뿍' 넣나요? 잘못 쓰고 있습니다

전혜영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인공눈물을 사용할 땐 한 번에 한 방울만 넣어야 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디지털 기기 사용이 증가하면서 눈에 건조감을 느껴 인공눈물 약제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눈물약'이라고도 불리는 인공눈물 약제를 적절히 사용하면 안구건조증 증상 완화에 확실한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올바른 방법으로 사용하지 않으면 충혈, 피부염, 결막염 등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안구건조증은 발병 원인이 다양해 완벽하게 치료하긴 어렵다. 핵심적인 치료 목표는 완치가 아닌 증상 완화다. 기본적으로 인공눈물을 통해 건조한 눈을 보습하고 떨어진 눈물 기능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치료한다. 치료제가 아닌, 증상 완화제로 생각해야 한다는 것. 그러나 인공눈물을 몇 번 넣어보고 곧바로 치료되지 않는다며 효과가 없다고 생각해 꾸준히 쓰지 않는 사람이 많다. 이밖에 귀찮다는 이유로 하루 2~3회 정도만 투약하기도 하는데, 이 정도로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인공눈물은 최대한 접근성이 좋은 곳에 두거나, 항상 가지고 다니면서 자주 넣어주는 게 중요하다. 특히 눈에 건조감이나 이물감이 느껴지는 등 불편할 때 넣는 것도 좋지만, 증상이 나타날 것 같은 상황에 미리 한 방울 넣어주면 더욱 효과적이다. 예컨대 바람을 쐬면 눈물이 흐른다면 외출 전에, 책을 오래 보면 시리거나 피로감이 올라간다면 독서 전에 넣는 등이다. 손이 건조해지기 전에 미리 핸드크림을 바르는 것처럼, 인공눈물로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미리 넣어주는 게 좋다.

그렇다고 인공눈물을 한꺼번에 다량 투약해선 안 된다. 다른 점안제와 마찬가지로 인공눈물도 1회에 한 방울만 넣는 것이 원칙이다. 많이 넣으면 눈이 더욱 촉촉해질 것 같지만, 오히려 건조함을 악화시킬 수 있다. 눈에서 기본적으로 분비되는 눈물 안의 면역성분이나 영양분까지 씻겨 내려갈 수 있기 때문이다. 알레르기 결막염이 악화되거나, 눈꺼풀 바깥쪽에 약이 축적되며 피부염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한 방울만 넣어도 충분히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여러 방울 넣지 말아야 한다.

또한 처방없이 살 수 있는 점안제 중에 충혈을 없애 주면서 시원한 느낌을 주는 제품도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제품에는 혈관을 수축시키는 성분이 들어있는데, 오랫동안 사용하다 중단하면 더 심한 충혈을 일으키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김안과병원 각막센터 김국영 전문의는 "인공눈물은 무엇보다 자주 점안하는 게 중요하다"며 "안과 검진을 통해 적절한 제품을 처방 받아 올바르게 점안하는 것이 안구건조증 치료의 기본"이라고 말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