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
[소소한 건강상식] 웃음 터지면 참기 힘든 이유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1/03/04 09:54
웃음은 한 번 터지면 참을 수 없을 때가 많다. 왜 그럴까?
먼저, 웃음이 유발되는 과정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감정을 주관하는 뇌 부위는 변연계다. 어떤 자극에 의해 뇌의 변연계가 활성화되면 도파민, 세로토닌, 엔도르핀 등이 분비되고 웃음이 나온다. 도파민은 뇌에게 주는 일종의 '보상'으로, 뇌는 이 도파민을 좋아한다.
웃음을 참으려 하면 전두엽이 나서기 시작한다. 감정을 억제하고 통제력을 발휘하는 부위다. 그런데 변연계에 가해진 자극이 세서 도파민이 많이 분비되면 뇌는 즐거운 기분을 오래 느끼려고 전두엽을 덜 활성화시킨다. 한 마디로, 뇌가 즐거운 것을 더 좋아해 웃음이 계속 유지되는 것이다. 전두엽이 망가진 뇌질환자가 웃음을 잘 참지 못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도 비슷한 이유에서다. 경희대병원 신경과 이진산 교수는 "변연계는 기억과도 관련이 있어서, 웃음을 유발한 상황이 예전의 재미있는 경험을 떠오르게 해 웃음이 더 강력해지기도 한다"고 말했다.
웃음을 참으려면 시각, 청각, 촉각 등 자극을 차단하는 게 도움이 된다. 눈을 감고, 귀를 막고, 변연계가 웃긴 상황에 자극을 덜 받도록 예전 기억(슬프거나 힘들었던 상황)을 끄집어내는 것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