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독한 수영장 물, 바이러스 사멸
접촉·공용 샤워실 사용은 위험
전문가들은 수영장의 '물' 만큼은 바이러스 안전지대로 본다.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엄중식 교수는 "대부분 높은 농도의 염소(Cl)로 소독이 돼 있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들어가도 대부분 사멸한다"며 "감염자가 몸을 담근 물에 들어가도 감염되진 않는다"고 했다.
수영장 물을 마시게 된다 해도 큰 문제 없다. 서강대 화학과 이덕환 명예교수는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호흡기 감염 질환"이라며 "소화기는 호흡기에 비해 면역 시스템이 강력해 바이러스가 있는 수영장 물을 마셨다고 해도 큰 문제는 없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수영장 물놀이가 적절할까. "그렇지 않다"는 게 일치된 견해다. 이덕환 명예교수는 "수영장은 밀접 접촉이 일어날 수 밖에 없고, 마스크 착용도 불가능하지 않느냐"고 했다. 해변가나 야외 수영장이라 해도 '물 반 사람 반' 수준으로 인구 밀도가 높으면 바이러스 감염 위험은 커진다.
수영 후 샤워할 때도 문제다. 이덕환 교수는 "현재 정부에서 헬스장을 이용할 때 샤워 시설은 쓰지 말라고 권한다"며 "불특정 다수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수도꼭지, 헤어드라이어 등으로 인한 감염 위험이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