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

20~40대에 처음 알게 되는 머릿속 시한폭탄 '뇌동정맥 기형'… "극심한 두통이 의심 신호"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뇌 동맥이 모세혈관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정맥으로 연결되는 '뇌동정맥 기형'은 성인이 된 후 처음으로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흔히 뇌혈관질환이라 하면 후천적으로 생기는 뇌졸중, 뇌동맥류를 떠올리지만, 뇌혈관의 선천적인 기형으로 심각한 손상을 남기는 또 다른 질환이 있다. '뇌동정맥 기형'이다.

동맥이 모세혈관 안 거치고 바로 정맥으로 연결

뇌동정맥 기형은 선천적인 발달 이상으로 뇌 동맥이 모세혈관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정맥으로 연결되는 일종의 혈관 기형이다. 동맥과 정맥이 직접 연결되면서 그 주위에 비정상적인 혈관들의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뇌동정맥 기형이 발생한다. 고대구로병원 신경외과 윤원기 교수는 "동맥의 높은 압력이 혈관 벽이 매우 얇은 정맥에 그대로 전달되면서 정맥이 부풀어 올라 터지거나, 기형 혈관 자체가 파열되거나, 동정맥 기형의 혈류역학적 문제 때문에 뇌동맥류가 발생해 터지는 뇌출혈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뇌동정맥 기형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진 바 없다. 윤 교수는 '매우 드물게 유전성 질환과 동반된다고 보고된 바 있으나, 대체로 가족력은 없다"고 말했다.

까다로운 뇌동정맥 기형, 수술과 색전술로 완치돼

뇌동정맥 기형 증상의 약 50%는 뇌출혈로 나타난다. 출혈 부위에 따라 신경학적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나며, 극심한 두통, 팔다리 감각이 둔해지거나 발음이 어눌해질 수 있다. 출혈이 심할 경우 의식장애를 일으키고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두 번째로 흔한 증상은 뇌전증(간질)이다. 약 30%의 환자에게서 나타난다. 소아 난치성 뇌전증의 흔한 원인이기도 하다. 윤원기 교수 “뇌동정맥 기형의 증상은 대개 20~40세 무렵에 처음 나타난다”며 “극심한 두통을 갑작스레 경험한 적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뇌혈관질환 전문가를 찾아 점검을 받아보라”고 말했다.​

머리 깨질 듯한 두통… 반드시 병원 찾아 진단받아야 ​

과거에는 뇌동정맥 기형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색전물질과 미세 카테터가 발달해 미세수술 및 혈관 내 수술이 잘 시행되고 있다. 또한, 방사선 수술 등 다학제적 치료를 통해 치료하기 까다로운 뇌동정맥 기형을 완치에 가깝게 치료할 수 있게 됐다. 윤원기 교수는 “뇌동정맥 기형은 뇌혈관 질환 중 치료가 가장 까다로운 질환"이라며 "해부학적 구조와 혈류역학적 복잡성을 고려하여 최선의 치료방법을 모색해야 하며, 크기가 크더라도 부분 색전술과 수술을 통해 완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뇌동정맥 기형의 치료는 증상, 기형의 위치, 크기, 모양, 환자의 상태 등을 고려해 선택한다. 대표적인 치료 방법으로는 혈관 내 색전술, 미세 수술적 제거, 감마나이프 치료 등이 있다. 가장 전통적이고 확실한 방법은 수술로 제거하는 것이다. 직경 3cm 이하의 작은 뇌동정맥 기형에 대해서는 90% 이상의 완치율을 보인다. 혈관 내 색전술이란 뇌혈관 안에 작은 관을 삽입하여 금속 또는 약품을 주입하여 기형이 있는 부위를 막아버리는 것이다. 수술보다 합병증 적고 환자의 부담이 덜하다. 단, 색전술만으로는 완치가 쉽지 않아 미세수술 또는 감마나이프 치료(병변에 집중적으로 많은 양의 감마선을 쪼여 치료하는 방법)를 병행한다. 아주 크지 않은 뇌동정맥 기형의 경우 감마나이프 치료만으로도 수술적 치료 없이 완치가 가능하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