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과

[아이 건강] 소아비만이 심각한 문제인가요?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소아비만은 아이 성장부진을 유발할 뿐 아니라 다양한 성인병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아이의 성장에 있어 영양 섭취만큼 중요한 것이 없다. 하지만 '과도한' 영양 섭취는 비만을 부르고, 소아비만은 생각보다 심각한 건강 문제를 유발한다.

성장에 쓰일 에너지가 지방 태우는 데 소비

소아비만으로 아이 몸에 지방이 과도하게 쌓이면 지방을 태우기 위한 에너지 소비가 커진다. 이로 인해 몸의 성장에 쓰여야 할 에너지가 지방을 태우는 데 소비되면서 성장부진이 나타날 수 있다. 소아비만은 성인비만으로 이어질 확률도 크다. 성인비만은 이미 만들어진 지방세포들의 크기가 점점 커지는 '비대형 비만'인데, 소아비만은 지방 세포 수 자체가 늘어나는 '증식형 비만'이다. 지방세포 크기는 운동, 식이요법 등으로 줄일 수 있지만, 지방세포의 수는 지방 흡입 같은 인공적인 수단이 아니며 해결 방법이 없다. 소아비만의 80%가 성인비만으로 이어진다는 통계도 이와 관련 있다. 소아비만이 오래 지속되면 뇌의 시상하부에서 '성장억제호르몬'을 분비해 성장호르몬 분비량이 줄어든다.

소아비만을 겪는 아이는 사춘기가 빨리 시작되는 성조숙증이 올 위험도 커진다. 체지방량이 늘어나면 몸에서는 '렙틴'이라는 호르몬이 많이 분비되는데, 이 호르몬이 혈관을 통해 뇌 시상하부로 가서 사춘기를 일으키는 신호전달호르몬을 내보낸다. 사춘기가 일찍 시작되면 성장판도 일찍 닫혀 키가 자랄 수 있는 시기가 그만큼 짧아진다. 이 밖에 소아비만은 고혈압, 이상지지혈증, 이상지질혈증, 지방간 같은 성인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우울감, 과잉행동 등 다양한 심리적 문제뿐 아니라, 자기 외모에 대한 열등감과 자신감 결여가 발생해 사회생활에 지장이 생길 수도 있다.

식습관 교정 중요, 30분 이상 운동 필수

소아 비만을 예방, 완화하려면 음식 섭취량을 조절하고 운동으로 칼로리를 소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대한소아내분비학회 보건위원회가 고도비만 아이들의 식습관을 조사한 결과, 보통 아이들보다 과식하고 식사 속도가 빠르며, 특히 저녁 식사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름기 많은 음식을 선호했다. 이런 습관을 피하게 하고 저열량, 저탄수화물, 저지방 식단을 기본으로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시키는 게 좋다. 식사는 규칙적으로, 야식은 먹지 말고, 음식을 작은 그릇에 담아 식탁에 앉은 채로 천천히 먹게 하는 게 좋다. TV나 컴퓨터 사용 시간이 많아 에너지 소모가 덜해지는 것도 소아비만 원인이다. 걷기, 자전거 타기, 줄넘기, 수영 등 유산소 운동을 땀이 날 정도로 하루 30분 이상 하게 하는 게 도움이 된다. 운동 시작 30분 후부터 성장호르몬이 분비돼 30분 이상 운동하는 게 중요하다. 일주일 3~4회 이상 규칙적으로 한다. 단, 이런 과정들을 서서히 꾸준히 이뤄져야 하며, 격려와 함께 그에 대한 보상을 해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참고서적=《출동! 우리아기 홈닥터》(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지음)​




�꿔꺂��옙占쎌삕占쎈낌�뺧옙醫묒삕 �좎럡�쀯옙��쇿뜝占� �좎럩伊숋옙恝�숋옙�깆굲占쎌쥜��

占쎌쥙�э옙�낆릇占쎈툕�쀯옙節덈빝�좑옙 占쎌쥙�⑵짆�낆삕占쏙옙�용쐻�좑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