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치매 환자 간병인은 수면 장애를 겪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치매 환자를 간병하는 사람은 수면 장애를 겪을 위험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베일러대 연구팀은 치매 환자 간병인 326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설문 조사를 통해 간병인들의 수면의 질과 양을 측정했다. 그 결과 치매 환자 간병인들은 치매 환자를 간병하지 않는 사람보다 주당 2.5~3.5시간 가량 잠을 덜 자고, 수면의 질도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 환자 간병인들은 만성 스트레스를 지니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연구팀은 이 때문에 수면 장애가 생기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연구팀은 "매주 3.5시간 정도의 수면 손실은 간병인의 신체 및 정신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뿐 아니라 치매 환자에게도 좋지 않다"며 "치매 환자 간병인이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면 치매 환자에게 더 감정적으로 반응하거나, 약물 복용량을 혼동하는 등 실수를 저지를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에 참여한 천구 가오 박사에 따르면 치매 간병인의 수면 장애 개선을 위해서는 햇볕을 더 많이 쬐고, 규칙적으로 수면 시간을 정한 뒤, 적당히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자마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