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과

환경호르몬 노출 반드시 줄여야… 성조숙증 꾸준히 증가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성조숙증을 앓는 아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3~2017년 성조숙증질환 환자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5년간 2013년 대비 42.3%(연평균 9.2%) 증가했다.

성별 진료실 인원은 남아는 2013년 5935명에서 2017년 9595명으로 연평균 12.8%(3660명) 증가했고, 여아는 2013년 6만1086명에서 2017년 8만5806명으로 연평균 8.9%(2만4720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최근 남아환자 연평균 증가율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7년 기준으로 성별 인원을 살펴보면, 진료인원은 전체 9만 5천 명 중 약 8만 5천 명(89.9%)이 여아 환자이며, 이는 남아 환자 9천 5백 명 대비 8.9배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아청소년과 정인혁 교수는 "최근 우리나라 환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진성 성조숙은 여아에서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며 "이는 최근 발표된 미국 연구와 일부 유럽 연구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원인으로는 산업화에 따른 환경오염, 식생활 변화에 따른 비만, 빠른 사춘기의 가족력 등이 지목된다"고 말했다. 진료인원이 여자가 남자보다 약 9배 이상 많은 것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여성 호르몬과 비슷한 환경 호르몬이 많이 발견 된다는 점, 비만의 경우 지방 세포에서 여성호르몬을 분비한다는 점 등이 남아에서보다 여아에게 더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이라 생각된다"고 했다.

성조숙증을 치료하지 않고 놔두면 어떻게 될까. 성조숙증 환자는 조기 골단 융합으로 최종 성인 신장이 작아지며, 신체적 정신적 불안의 문제와 성적 학대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또 여아의 경우 초경이 빠를 경우 유방암의 위험이 증가하며 불임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