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곧 새 학기가 시작되는 3월이다. 입학, 개학을 앞두고 기대에 부푼 아이들도 있지만, 새로운 환경에 대한 불안감에 벌써 학교 가기 싫다고 호소하는 아이들도 많다. 을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방수영 교수는 "아이가 불안해할수록 보호자는 함께 동요하기보다 평정심을 가지고 관심과 격려를 보내는 것이 중요하다”며 “아이 곁에서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입학 전 아이의 건강상태와 심리상태를 살펴 불안감을 없애고 안정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고 말했다.
등교 거부증, 이별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나타나
특별한 이유 없이 갑자기 학교에 가지 않으려 하는 것을 '등교 거부증'이라고 한다. 학교 갈 시간이 되면 갑자기 배가 아프다거나, 어지럽다거나, 머리가 아프다고 호소한다. 이에 아이를 병원에 데려가는 부모도 있지만 별다른 이상이 없다는 답변을 듣는 경우가 많다.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 부모는 아이를 꾀병으로 몰아 혼을 내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방수영 교수는 "초등학교에 갓 입학한 아이나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가 등교 거부증을 보이는 것은 부모와 떨어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인 경우가 많다"며 "이럴 땐 부모가 아이와 함께 학교에 가서 수업이 끝날 때까지 기다렸다가 함께 오더라도 등교를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더불어 방 교수는 "배가 아프다, 어지럽다 등 아이가 호소하는 신체 증상에는 무관심하게 대하되 아이가 학교에 가는 것에 대해서는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노력에도 같은 상황이 반복되면 정신건강의학과 상담을 받는 것도 방법이다. 병원에서는 아이가 보호자와 이별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은 놀이 치료를 통해 극복하게 하거나, 불안의 정도가 심할 땐 항우울제나 항불안제를 쓰기도 한다. 방 교수는 "간혹 아이보다 보호자가 더 불안함, 우울함을 느껴 아이를 과잉보호하거나 독립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경우도 있다"며 "이땐 보호자도 함께 상담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집단 따돌림 때문일 수도 있어 주의 깊게 살펴야
등교를 거부하는 이유가 아이들의 따돌림 때문일 수도 있다. 또래와 친하게 지내는 일이 어렵거나, 자신이 남에게 어떻게 보이는지에 대해 지나치게 민감한 아이들이 집단 따돌림을 겪는 경우가 많다. 방 교수는 "이를 예방하려면 부모가 평소 자녀와 많은 대화를 통해 생활 태도를 살펴보고 친구 사귀는 방법도 조언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