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문제 아닌 엄마와의 분리가 불안한 탓일 수도

3월이면 새 학기가 시작된다. 학부모는 자녀가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할지, 공부는 잘 할지, 따돌림을 당하지는 않을지 걱정스럽기 마련이다. 상당수의 어린이·청소년은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하지만, 거부감을 느끼고 학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아이들이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을지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창화 교수의 도움말로 알아본다.

 




이미지
아이가 아침마다 복통이나 두통을 호소하며 등교를 거부한다면 분리불안 증상일 수 있다./사진=을지대병원 제공

아침만 되면 머리·배 아프다는 아이…분리불안일 수도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가 무작정 학교에 가지 않겠다고 하거나, 학교 갈 시간만 되면 머리·배가 아프다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등교거부증’, ‘학교거부증’, ‘학교공포증’ 등으로 부른다. 이 경우, 분리불안 탓일 경우가 많다. 학교자체가 싫어서라기보다, 엄마와 장시간 떨어져 있는 것 자체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학교에 가지 않으려 하는 것이다. 분리불안은 부모가 지나치게 과보호하는 가정, 가족끼리 서로 지나치게 의존적인 가정, 가정불화가 많거나 엄마가 어떤 이유로 해서 장기간 집을 떠나 있었던 가정 등에서 자란 아이에게 잘 생긴다.

아이가 분리불안 때문에 학교에 가는 것을 겁내는 경우 아이의 불안 정도를 점검해 가면서 단계적으로 이를 해결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정 기간 동안 부모가 아이를 학교에 데리고 가서 수업 중에는 교실 밖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수업이 끝나면 데리고 오도록 하고, 점차로 부모가 학교에 같이 머무는 시간을 줄여가도록 하며, 나중에는 학교에 데려다 주기만 하고, 종국에는 아이 혼자서 학교에 가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분리불안을 악화시키는 가정 내의 요소가 있다면 이를 해소하는 것이 기본이 된다.

학교에서 따돌림·괴롭힘을 당하는 경우도 등교를 거부할 수 있다. 학교에서 괴롭힘을 당해도 보복이나 따돌림의 심화가 두려워 부모나 선생님에게 얘기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아이의 생활에 항상 관심을 가지고 열린 마음으로 아이와 대화를 하고자 하는 노력해야 아이의 상태를 조기에 파악해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 이외에, 지능이 떨어지거나 학습장애가 있는 경우도 등교를 꺼려할 수 있다. 중․고등학생이 등교를 거부할 경우는 우울증, 사회공포증 및 기타 정신질환 탓일 수 있다.

5분도 못 앉아 있고, 할 일 자꾸 까먹으면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의심

공부할 때 집중을 못해서 5분을 채 넘기지 못하고 딴 짓을 하거나, 10분이면 풀 수 있는 학습지를 1시간이 되어도 완성하지 못하며, 해야 할 일을 일러주어도 언제 그런 말을 들었냐는 듯이 잊어버리고 그 일을 못 하는 등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는 자녀도 많다. 이 경우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일 수 있다. 몸을 잠시도 가만히 두지 않고 꼼지락거리기도 하고 쉼 없이 뛰어다니고 정신을 사납게 만들기도 한다. 참을성도 부족해서 차례를 잘 기다리지 못하기도 하고 원하는 것을 바로 들어주지 않으면 심하게 떼를 쓰기도 한다.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는 비교적 흔한으로, 이에 해당되는 행동장애를 보이는 경우가 100명 중 8~9명에 이른다는 국내 조사 결과가 있다.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는 최대한 빨리 치료를 받아야 한다. 병이 있어서 친구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하기도 하고, 증상이 1~2년 지속되면 스스로 자신의 모습에 스트레스를 받아서 불안, 초조, 자신감 상실 및 위축감등을 느끼게 되며 때로는 우울증에 빠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 치료에는 주로 약물치료와 행동치료가 쓰인다. 환자 중 70~80%에서 뚜렷한 효과가 나타난다. 행동이 차분해지고 주의력이 높아지는 것이다. 자녀의 주의력이 떨어지는 것 같다면 자가진단을 통해 상태를 체크해보자. 총 점수가 16점이 넘으면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일 가능성이 있으니 소아정신과 전문의를 찾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