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농촌진흥청 제공

황기를 높은 온도로 열처리하면 항산화 활성도가 높아지고,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기는 동아시아 고대 의학 초기부터 사용돼 온 약초다. 주로 겉껍질을 벗긴 뿌리를 약용으로 쓴다.​

농촌진흥청은 황기를 200도에서 30분 열처리하고, 쉬었다가 다시 열처리하는 작업을 1~3회 반복하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1회 열처리한 황기의 항산화 활성 정도는 생(生)황기의 16배로 증가했고, 폴리페놀 함량도 2.7배로 늘었다. 폴리페놀은 대표적인 항산화 성분이며, 혈액순환을 원활히 해 동맥경화, 뇌경색, 심근경색 등을 예방한다. 또한 황기를 1~3배 열처리한 결과, 황깅 내 이소플라보노이드 성분 중 칼리코신, 포르모노네틴이 각각 2.8~4.3배, 1.5~3.6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소플라보노이드는 대표적인 식뮬유래 에스트로겐 유사물질로, 체내에서 여성호르몬으로 전환된다. 이는 혈관 건강과 뼈, 뇌 건강 강화에 도움을 준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이용팀 김동휘 팀장은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약용작물의 기능성을 밝히고, 유용한 가공법을 이용해 약용작물의 활용성을 발굴해 재배농가의 새로운 부가가치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