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무릎에서 '사각사각' 소리가 나고 통증이 느껴지면 연골이 일부 떨어져 나가는 '박리성 골연골염'을 의심해봐야 한다./사진=헬스조선 DB

무릎을 구부릴 때 소리가 나는 것이 무조건 질환의 신호는 아니다. 관절 주위를 지나는 인대나 힘줄이 관절면의 연골 모서리 등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소리가 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무릎에서 소리가 지속적으로 나고 통증까지 동반되면 질환일 수 있다. 힘찬병원 조사 결과, 무릎에서 소리가 나는 환자 10명 중 1명은 무릎에 문제가 생긴 경우였다. ​힘찬병원 이수찬 대표원장은 “소리가 나는 무릎질환은 결국 연골 기능을 떨어드려 퇴행성관절염을 가속화시키는 요인이 돼 조기에 문제를 확인하고 치료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 어떤 무릎 질환이 소리를 잘 동반하는지 알아본다.

◇ ‘딱딱’ 퇴행성관절염, '사각사각' 박리성 골연골염
평소 무릎 통증이 있고 무릎에 손을 대고 관절을 움직일 때 뼈가 부딪히는 듯한 '딱딱' 소리가 느껴지면 '퇴행성관절염'을 의심해야 한다. 퇴행성관절염이 심해지면 연골이 벗겨져 노출되고 뼈끼리 마주치면서 '딱딱' 소리가 날 수 있다. 눈을 밟는 듯한 '사각사각' 소리가 나는 무릎 질환도 있다. 연골 아래쪽 뼈가 부분적으로 괴사하면서 관절 연골이 떨어져 나가는 질환인 '박리성 골연골염'이다. 박리성 골연골염은 무릎뼈 조각이 떨어져 나가며 관절 사이에 끼어 ‘사각사각’ 소리를 낸다. 발병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무릎에 작은 외상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면서 관절 연골을 지탱해주는 뼈(연골하판)에 미세한 골절이 축적되기 때문으로 추정한다. 심한 운동을 오래 지속했을 때 생기는 경우도 많다. 무릎이 삐걱대며 넘어질 듯한 느낌, 무릎 안에서 무언가 떠다니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대개 연골을 제자리에 고정해 환부가 그대로 굳어지도록 유도하는 치료를 한다. 연골이 떨어져 나가서 없거나 결손 부위가 크면 환자 나이를 고려해 연골 성형술이나 자가 연골 이식술 등의 수술 치료를 한다.

◇​운동 중 '끄르륵' 마찰음은 추벽증후군
청소년이나 스포츠 활동이 많은 30대 이하 젊은 층이 주의해야 하는 무릎 소리도 있다. 추벽증후군의 신호인 '끄르륵' 끌리는 듯한 소리다. 추벽은 태아 때 형성되는 무릎 속의 부드럽고 얇은 막이다. 태아 4~6개월쯤부터 퇴화하기 시작해 일반적으로 생후 6개월 이후에는 사라지지만, 국민 3명 중 1명은 추벽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나 간혹 극심한 운동이나 무게 압박 등으로 인해 추벽이 외상을 입어 부어오르면 연골면을 손상시키고, 이로 인해 관절을 움직일 때마다 막이 관절에 끼면서 ‘끄르륵’ 하는 마찰음과 통증이 생긴다. 이수찬 대표원장은 “운동 중 무릎에서 소리와 함께 통증 느껴진다면 즉시 무릎에 무리를 가하는 동작을 멈춰야 한다”며 “추벽증후군은 징후를 잡기 어려워 환자는 통증을 호소하나 원인 불명으로 치부되는 사례가 적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손가락 관절을 꺾으며 '뚝', '우두둑' 소리를 내는 것을 즐기는 사람들이 있다. 관절 건강을 위해서는 삼가야 하는 행동이다. 관절을 이루는 연골은 활액막에 싸인 채로 서로 맞물려 일종의 진공 상태를 이룬다. 관절을 구부리면 관절 사이가 약간 벌어지는데 이때 음압이 풀리면서 ‘뚝’ 소리가 나게 된다. 과도하게 관절을 꺾으면 손가락 주변의 관절낭이 과도하게 증식해 연골 손상이나 관절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관절을 꺾는 순간 통증이 느껴지면 병원을 찾아 진단받는 게 안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