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햇볕이 나를 공격한다, 일사병 vs 열사병 차이점은?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일사병보다 열사병이 더 위험한 질환이다. 일사병은 땀이 많이 나고 피부가 차지만, 열사병은 땀이 거의 나지 않고 피부 온도가 높다는 특징이 있다./사진=헬스조선 DB

아직 아침 저녁으로 날이 선선하지만, 낮에는 따사로운 햇볕이 내리쬐며 봄 날씨가 지속되고 있다. 기상청 날씨예보에 따르면 이번 달 말부터는 최고기온이 20도를 넘나들며 더 포근해질 예정이다. 그런데 햇볕은 늘 따사롭기만한 것이 아니다. 때로 햇볕의 뜨거움이 병의 원인이 된다. 과도한 햇볕을 쬐면 '온열질환'이 생길 수 있다. 대표적인 것이 일사병과 열사병이다. 이 둘은 각각 어떤 질환이고, 어떻게 예방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일사병은 몸이 과도한 더위에 노출돼 체온이 37~40도로 높아지는 것이다. 심장이 기존처럼 혈액을 원활히 내뿜지 못하지만, 중추신경계 이상은 없다. 땀을 과도하게 흘리면서 체내 전해질과 영양분이 손실되고 수분 부족으로 이어져 탈수가 올 수 있다. 피부가 찬 경우가 많다. 일사병 환자를 발견하면 시원한 곳으로 바로 이동시켜야 한다. 다리를 머리보다 높게 위치시키고 바르게 눕힌다. 이후 젖은 수건 등으로 체온을 떨어뜨린다. 의식이 뚜렷하고 맥박이 안정적이면서 구토 증세가 없으면 물이나 전해질 음료를 마시게 한다. 하지만 구역감이 있거나 구토를 하면 음료를 억지로 마시게 하지 말고 정맥 주사로 수액을 보충해야 한다.

열사병은 체온이 40도를 넘을 정도로 악화된 것이다. 체온조절을 하는 중추신경계가 열 스트레스에 견디지 못해 그 기능을 잃은 상태다. 사망 위험이 30%로 일사병보다 훨씬 높다. 일사병과 달리 땀을 거의 흘리지 않고 지속적으로 체온이 높아진다. 중추신경계 이상으로 정신 혼란, 발작, 의식 소실, 경련 등이 나타난다. 체내 장기가 과열돼 기능을 잃을 수 있어 치명적이다. 열사병이 있을 때는 우선 환자의 옷을 벗기고, 찬물로 온몸을 적시거나, 얼음·알코올 마시지를 해 체온을 낮추는 게 우선이다. 그리고 에어컨이나 선풍기 바람을 쏘이면서 병원으로 신속히 이동시켜야 한다. 열사병 환자가 의식이 없을 때는 즉시 119에 신고한 뒤 구급차가 오기 전까지 역시 환자를 시원한 곳에 옮겨 옷을 벗기고 피부를 식힌다.​

일사병, 열사병을 예방하려면 고온의 환경에 노출되기 전에 충분히 물을 마시고, 갈증을 느끼기 전부터 물을 넉넉히 섭취해야 한다. 너무 꽉 끼는 옷은 피한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