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초·중학생 10명 중 1명이 척추측만증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헬스조선DB

초등학생과 중학생 10명 중 1명은 허리가 휘는 척추즉만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척추측만증은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2배가량 발병률이 높다.

고려대구로병원 정형외과 서승우 교수팀이 2016년 전국 21개구 초·중학생 7만3243명(남자 3만7409명, 여자 3만5834명)을 대상으로 척추측만증을 검사한 결과, 남학생의 7.55%(2825명), 여학생은 13.28%(4760명) 허리가 5도 이상 휜 척추측만증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2배로 척추측만증을 앓고 있었다. 척추측만증은 허리가 C 또는 S자로 휘어지는 질환이다. 서승우 교수는 “여학생 유병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이유는 여성호르몬의 영향으로 관절을 잡아주는 인대와 근육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연하고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무지외반증, 오자형 다리 등과 같이 관절이 비틀어지는 질환이 여성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도 여성의 인대와 근육이 남성에 비해 약하고 유연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척추측만증은 몸이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허리 중심선이 휘어져 어깨의 높이가 차이가 날 경우 혹은 골반이 평행하지 않고 기울어져 있을 경우 의심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병원에서 척추측만증 검사를 받아야 하는데, 이때 몸통의 휘어짐 여부를 판단하는 등심대 검사를 시행한다. 허리가 휘지 않은 정상에서도 등심대 검사에서 이상한 것처럼 보일 수 있으므로 척추의 이상 유무는 X-ray를 찍어서 확인해야 한다.

치료는 허리가 휜 각도인 측만각도와 연령, 성장의 완숙도 등에 따라 운동치료, 수술치료 등으로 진행된다. 측만각도가 20도 이하일 경우 주기적인 운동치료를 통해 유연성을 유지시켜주면 교정이 가능하며, 좀 더 심한 경우 보조기 착용 등 교정치료를 병행한다. 하지만 측만 각도가 40~50도를 넘는 경우 성장후에도 1년에 1도씩 계속 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생겨 수술로 휘어진 척추를 교정해야한다.  성장 종료까지 수 년이 남은 성장기 학생은 1~2년 사이에 급격히 키가 자라면서 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휘어짐이 없도록 주의를 해야하고 3~6개월 간격으로 관찰을 하면서 치료방향을 결정한다. 척추측만증 수술은 휘어진 척추뼈에 나사못을 고정하고 지지대로 고정시켜 척추가 더 이상 휘지 않도록 잡아주는 수술이다. 최근 최소침습수술법이 개발돼, 30cm 이상을 절개하던 수술해서 5cm의 작은 구멍 2개만으로도 수술이 가능해졌다. 흉터가 1/4 줄어들어 출혈량과 통증이 감소되고 회복속도도 빨라졌다.

서승우 교수는 “아이의 골반 높이가 달라 치마가 한쪽으로 자꾸 돌아가고, 발 길이가 차이나며 신발 굽이 서로 다르게 닳는다면 척추측만증을 의심해 봐야한다”며 “부모들이 자녀를 주의 깊게 관찰해 조기에 전문의 치료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