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봄 신발 탓에 생기는 '발바닥 통증'… 4가지 스트레칭으로 예방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밑창 얇은 플랫슈즈 주의

이미지

봄에는 밑창이 얇은 신발을 자주 신으면서 족저근막염을 겪을 확률이 높아진다/사진=조선일보 DB

날이 따뜻해지면서 가벼운 신발을 찾는 사람도 늘고 있다. 하지만 굽이 낮고 밑창이 얇은 신발을 신으면 발이 지면과 부딪칠 때 그 충격이 발바닥에 그대로 전달된다. 이를 지속적으로 착용해 발바닥에 무리가 가면 '족저근막염'이 유발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족저근막염, 충격 흡수 못 하는 신발 착용이 원인
족저근막염은 발꿈치 뼈와 발가락을 연결하는 강하고 두꺼운 근막(섬유띠)인 '족저근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이다. 충격을 잘 흡수하지 못하는 딱딱한 신발이니 밑창이 가벼운 신발을 신을 때 잘 생긴다. 갑자기 많은 양의 운동을 할 때나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람에게도 나타날 수 있다. 족저근막염의 대표적인 증상은 아침에 일어나 첫발을 디딜 때 발뒤꿈치에 심한 통증이 느껴지거나 걸을 때 찌릿한 통증이 생기는 것이다. 발가락을 발등 쪽으로 구부리면 통증이 심해지기도 한다. 초음파 검사를 해보면 염증이 생긴 근막이 정상보다 심하게 부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증상 예방하는 데 '4가지 스트레칭법' 도움
족저근막염 초기에는 무엇보다 휴식이 중요하다. 통증의 원인이 되는 운동을 삼가고, 뒷굽이 적당하고 안창이 부드러운 신발 또는 밑창 쿠션이 좋은 운동화를 신는 게 안전하다. 동탄시티병원 김병호 원장은 "증상이 심해지면 소염진통제 복용과 그 밖의 보존적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며 "그래도 통증이 나아지지 않으면 족저근막에 충격파를 가해 통증을 느끼는 신경세포를 자극, 새로운 혈관을 재생시켜 증상을 완화하는 체외충격파요법을 쓸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치료 기간이 6개월~1년 정도로 길어질 수 있어, 증상을 예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족저근막염을 예방하는 스트레칭법을 소개한다.

<족저근막염 예방 스트레칭 방법>
1. 엄지발가락 상하운동

엄지발가락을 크게 위로 올렸다 내리기를 반복하는 간단한 운동으로 책상에 앉아 업무 중이나 텔레비전 시청 중 등 언제든지 가능하다.
2. 장딴지 스트레칭
계단에 아픈 발을 반쯤 걸친 후, 발바닥에 당김이 느껴질 때까지 뒤꿈치를 계단 아래로 내린다. 이 자세를 15~30초간 유지하며 동작은 3회 반복한다. 발등 근육을 강화하고 아픈 발바닥을 스트레칭 하는데 효과적이다.
3. 냉동캔 발로 구르기
얼린 캔이나 PET을 아픈 발바닥에 대고 뒤꿈치에서 가운데 발바닥까지 앞뒤로 구른다. 20분 동안 반복하고 잠들기 전에 서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4. 타올 스트레칭
딱딱한 바닥에 앉아 타올로 아픈 발을 감은 후, 무릎을 쭉 편 채로 타올을 이용해 발을 몸쪽으로 잡아당긴다. 당긴 상태로 15~30초 간 유지, 같은 동작을 3회 반복한다.





嶺뚮씭�섓옙占� �곌랬�� �좎럥�삼옙占�

�좎떬�낅츩�브퀗�h땻占� �좎럩裕놅옙��쇿뜝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