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외과
엎드려 잤다간 목디스크 위험… 낮잠 자세 '이렇게' 해야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7/03/06 09:00
봄이 다가와 기온이 오르면서 많은 직장인과 학생들이 춘곤증에 시달리고 있다.
하지만 휴식 시간을 이용해 책상에 엎드려 자는 것은 목에 무리를 줄 수 있어 피해야 한다. 책상에 엎드려 있으면 누운 자세보다 2배가량 많은 힘이 목에 가해진다. 이 자세가 오래 유지될수록 목에 충격이 쌓이면서 근육통이나 목디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
목디스크란 목 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가 밖으로 밀려 나와 주위를 지나는 신경과 근육 등 조직을 압박,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다. 목 통증이 가장 흔하지만, 어깨와 팔이 자주 당기고 저리거나 팔이나 손에 힘이 빠지는 증상이 생기기도 한다. 두통이나 어지러움이 생길 수도 있다. 이런 증상이 지속되면 병원을 찾아 진단받는 게 안전하다.
목디스크는 대부분 수술 없이 치료된다. 김영수병원 김영수 원장은 "심한 통증이 있거나 MRI 사진에서 디스크 파열 소견이 있어도 수술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신경외과 개원가에서는 비수술적 치료,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시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보존적 치료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체외 충격파치료, 주사치료(근육 내 자극 주사, 프롤로테라피, 신경가지 주사, 경막 외 주사, 꼬리뼈 신경 주사, 인대 강화 주사, DNA 주사 등) 등이 있으며, 비수술적 치료는 경막 외 신경성형술. 추간판내 고주파열 수핵감압술, 고주파열 내시경 디스크 치료술 등이 있다.
단, 마비 증상이 생기거나 비수술적, 보존적 치료가 효과가 없으면 디스크 제거술, 움직이는 인공디스크 치환술 등의 수술적 치료도 고려해야 한다.
김영수 원장은 “목디스크를 예방하려면 엎드려 자더라도 상체가 크게 구부러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쿠션이나 책 등으로 얼굴이 받쳐주거나 목을 감싸는 형태의 베개를 사용하는 것이 목이 받는 부담을 줄인다”고 말했다. 더불어 김 원장은 “목이나 어깨 통증이 느껴진다면 즉시 신경외과 등의 전문병원을 방문해 통증의 원인을 파악하고 자신에게 적합한 치료를 받기를 권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