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환자가 갑자기 의식을 잃었을 때는 무리하게 인공호흡을 하기보다 가슴압박을 강하고, 빠르게 실시해야 한다/사진=헬스조선 DB

설 연휴에는 문을 연 의료기관이 적을 뿐 아니라, 오랜만에 고향을 방문해 살던 곳과 생활환경이 달라 '응급상황' 시 당황하기 쉽다. 알아두면 좋은 간단한 생활응급처치 방법을 소개한다.

◇갑자기 의식을 잃은 환자가 발생했을 때
즉시 주위에 도움을 청해 119에 신고하고, 맥박이 없으면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 국내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분당 100~120회로 가슴 압박만 시행하면 된다. 양 젖꼭지를 기준으로 중간 부위를 5㎝ 정도 압박한다. 심폐소생술 하는 법을 잘 모르겠다면, 119구급대가 오기 전까지 무리하게 인공호흡을 시도하지 말고 가슴 압박만 '강하고' '빠르게' 실시한다.

◇떡 등 음식물에 의해 기도가 막혔을 때
환자가 기침할 수 있으면 기침을 하게 하고, 할 수 없으면 '하임리히법'을 실시한다<사진 참조>. 환자가 성인인 경우 뒤에서 감싸듯 안고 한 손은 주먹을 쥐고 한 손은 주먹 쥔 손을 감싼 뒤, 환자의 명치와 배꼽 중간지점에 대고 위로 밀쳐 올린다. 환자가 소아인 경우 허벅지 위에 머리가 아래를 향하도록 엎드려 놓은 후, 손바닥 밑부분으로 등의 중앙부를 세게 두드리는 ‘등 압박’을 한다. 가슴 양쪽 젖꼭지를 잇는 선의 중앙 부위 약간 아래를 두 손가락을 이용, 4cm 정도 깊이로 강하고 빠르게 눌러주는 ‘가슴 압박’도 반복해야 한다.





이미지
기도가 막혔을 때 대처법-성인,소아/사진=보건복지부 제공

◇화상 입었을 때
통증이 감소할 때까지 화상 부위에 찬물을 흘리고 물집이 터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얼음찜질은 하지 않으며, 소주·된장·연고 등을 바르는 민간요법을 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