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카드뉴스] 잠 못 드는 밤

헬스조선 카드뉴스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이미지

끝도 없이 뒤척뒤척,
머릿속으로 양을 몇 마리
셌는지도 모르겠나요?

어느새 새벽 3시,
어서 잠들지 않으면
내일이 힘들 텐데요…

잠드는 것,
수면 상태를 이어가는 것이
어려운 상태를 말하는
[불면증]

잠이 오지 않아 잠들기 힘든 것.
깊은 잠을 잘 수 없는 것.
잠깐 잠이 들었다가 잠이 깨는 것.

위의 증상과 함께
소화불량, 신경쇠약 등의
증세가 나타나기도 하죠.

나를 잠들지 못하게 하는 것
01 정신적 스트레스
근심과 불안, 걱정으로 가득한
사람들은 좀처럼 잠들지 못하죠.

우울증이나 조증, 불안장애,
강박장애, 공황장애, 트라우마 등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약 80%는
잠이 들기 어렵고 잠들어도 금방 깨는
수면 장애에 시달립니다.

나를 잠들지 못하게 하는 것
02 특정 질환
심한 통증의 류마티스 관절염.
다리에 벌레가 기어가는 듯한 하지 불안 증후군.
밤에 더 증상이 심해지는 천식.
수면 무호흡증 등
통증을 비롯한 각종 증상이 동반되는 질환도
숙면을 방해합니다.

나를 잠들지 못하게 하는 것
03 알코올, 카페인
술을 마시면 잠이 바로 온다고 하지만,
오히려 알코올 성분이 깊은 잠을 방해해
숙면 시간은 줄어듭니다.

각성 효과가 있는 카페인.
하루 3잔 이상의 커피는
불면증을 불러올 수 있으니
너무 많이 마시지 않도록 하세요.

불면증을 위한 수면제, 그 효과적 복용법은?

정해진 용량으로 2~3주 정도 복용하는 것이 원칙.
취침과 기상 시간을 정해놓고
잠들기 30분 전에 복용해야 효과가 좋습니다.

수면제 복용, 이것 주의하세요!

복용 후 3주가 지나도 나아지지 않으면
수면제 복용보다 원인 질환을 찾아야 합니다.

수면제는 깊은 잠에 빠져드는 첫 단계에만 작용하니,
숙면의 원인이 곧 수면제라 여기는 것은 착각입니다.

복용 후 기억력이 떨어지거나
판단력이 흐려진다면 즉시 복용을
중단해야 합니다.

숙면을 가져오는 습관
1)잠자리에 드는 시간, 일어나는 시간을 일정하게 하고 주말이나 휴일에도 이를 지킨다.
2)잠들기 약 6시간 전 중간 강도의 운동을 한다.
3)잠자리에 들기 약 2시간 전 더운물로 목욕한다.
4)담배, 커피, 홍차, 콜라, 술, 과식을 피한다.
5)침대는 오로지 잠을 자는 공간으로만 사용하고 다른 일을 하기 위해 침대에 눕는 것을 피한다.
6)침실은 늘 쾌적하고 조용하게 유지한다.

건강의 기본이자 소중한 휴식의 시간 수면.
당신의 잠 못 드는 밤이 언젠가 ‘잠 잘 오는 밤’으로
변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기획 I 헬스조선 카드뉴스팀




占싼딅뮞鈺곌퀣苑� 占쎌뮆�э옙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