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다리 꼬는 습관에 허벅지 통증 생겼다면? 이상근증후군 살펴야

황인태 헬스조선 기자 | 이기상 헬스조선 인턴기자

앉았다 일어설 때, 오르막 오를 때 통증 심해지는 특징

의자에 앉을 때 엉덩이나 허벅지 통증이 심하고 저리다면 '이상근증후군'을 의심해야 한다. 엉덩이 뒤쪽과 넓적다리뼈에 걸쳐 분포하는 이상근이라는 근육이 붓거나 뭉치면 발생할 수 있는 증상이기 때문이다. 방치하면 통증이 심해져 걷기조차 어려워질 수 있어 스트레칭이나 자세 교정 등 예방과 관리에 주의해야 한다.

 




이미지

이상근증후군은 잘못된 자세나 운동 부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앉는 자세 개선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사진=헬스조선 DB

의자에 앉을 때 다리를 꼬거나 양반다리를 하는 습관이 이상근증후군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습관으로 비대해진 이상근이 엉덩이에서 다리로 내려가는 둔근 신경과 좌골 신경을 압박하면서 통증을 일으킨다.

초기에는 엉덩이 쪽만 아프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종아리와 발바닥까지 아프게 된다. 허리디스크와 비슷한 다리 저림이나 당기는 증세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이상근증후군은 허리 통증은 없는 경우가 많다. 엉덩이를 누를 때나 앉았다 일어날 때, 오르막을 오를 때 엉덩이와 허벅지 통증이 유독 심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근을 풀어주는 스트레칭이나 자세 개선 없이 방치하면, 계속 통증이 심해져 나중에는 걷는 것도 힘들어질 수 있다.

이상근의 무리를 줄 수 있는 자세는 삼가야 한다. 운동이나 스트레칭 없이 오래 앉는 습관도 엉덩이 근육을 약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1시간에 한 번씩 자리에서 일어나 휴식하는 것이 좋으며, 누운 상태에서 한쪽 다리를 가슴 쪽으로 당기는 스트레칭을 꾸준히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이런 방법으로도 통증이 나아지지 않으면, 정형외과에서 신경을 차단하는 주사로 치료하기도 한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