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교정시설 절반 엉터리 엑스레이...수감자 결핵관리 구멍

황인태 헬스조선 기자

공중보건의사協 교정시설 영상판독실태 조사 결과

교도소, 구치소 등 전국 교정시설 내 수감자 결핵 판정을 위해 엑스레이 촬영이 이뤄지고 있지만 절반 이상이 전문적 영상 판독이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가 2016년 10월 교정시설의 엑스레이 검사 촬영 및 판독현황 실태를 조사한 결과 전국 교정시설 45곳 중 43곳에서 흉부 엑스레이 촬영이 시행되고 있지만 26곳(57.8%)에서 전문 판독(영상의학과 전문의)이 아닌 공중보건의사에게 위임하고 있다고 밝혔다.

공중보건의사협의회 김재림 회장은 "교정시설 절반 이상에서 엑스레이 전문판독이 이뤄지지 못해 오판독시 수형자 및 이후 국민 보건에 중대한 위해를 끼칠 우려가 있어 개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미지

교도소, 구치소 등 전국 교정시설 절반 이상에서 전문적인 영상 판독이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사진=헬스조선DB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에서 편찬한 '결핵진료지침'에 따르면 결핵 진단 시 흉부 엑스레이 검사는 판독소견이 매우 중요해 전문적인 의학지식이 풍부한 판독경험이 있는 전문가가 요구된다고 명시해놓았다.

이번 실태조사를 살펴보면 45개 교정시설 중 '깔끔하고 전문가가 충분히 판독가능한 촬영이 이뤄진다'고 답한 비율은 7곳에 불과했다. 이외에 필름이 흐리다 4곳, 기계 노후화 15곳 등 대부분 정확한 판독이 불가능한 상태였다.

엑스레이 영상 판독의 경우 외부기관 또는 외부의료진(영상의학과 전문의)에 의뢰한다고 답한 곳은 11곳 뿐이었고. 나머지 시설 모두 자체적으로 판독한다고 답했다. 하지만 해당 시설 내 상시근무 중인 영상의학과 전문의는 한 명도 없었다.

국내 결핵환자 발생률은 매우 높다. 질병관리본부 2015년 결핵환자 신고현황을 살펴보면 결핵신규환자는 3만 2181명으로 인구 10만명 당 63.2명이다. 이는 OECD국가 중 1위로 2위 포르투갈(25명)과 3위 폴란드(21명)와의 차이도 크다.

김재림 회장은 "우리나라의 심각한 결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결핵치료를 위한 비용을 전액 지원하고 있고, 교정시설에서도 신입, 이입 수형자의 경우 결핵여부 판정을 위해 엑스레이를 촬영하는 것"이라며 "적절한 판독이 이뤄지지 못하면 수용자의 건강권은 물론 시설근무 공무원의 감염위험 등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嶺뚮씭�섓옙占� �곌랬�� �좎럥�삼옙占�

�좎떬�낅츩�브퀗�h땻占� �좎럩裕놅옙��쇿뜝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