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임신 전 비만이면 임신 후 고생한다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비만은 임신 전 미리 관리하는 게 좋다/사진출처=헬스조선DB

임신부의 과체중이 태아의 건강을 위협하는 중요한 원인이라는 발표가 나왔다.

제일병원이 2015년에 분만한 임신부 4,86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통계집 ‘2016 제일산모인덱스’자료에 따르면, 임신 전 비만 여성은 임신 후에 임신성 당뇨에 걸릴 확률이 13.1%로 나타났다.이는 정상 여성의 4배(3.2%) 이상이다.

또한, 임신성 고혈압은 1.9배, 과체중아 2.1배, 4.0 kg 이상의 거대아 출산 확률 1.8배, 조산 1.4배, 제왕절개율 1.3배 등 임신 전 비만인 여성은 각종 임신합병증도 함께 증가했다. 비만 보다 낮은 체질량지수의 과체중 임신부도 체중과 비례해 관련 합병증이 동반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임신부의 평균 체중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2010년 제일산모인덱스 기준, 임신 전 체질량지수 23 이상인 과체중 및 비만 임신부의 비율은 19.4%였으나 2015년에는 20.9%로 매년 꾸준히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체중과 임신결과를 연구한 주산기과 김민형 교수는 “임신 전 체중과 함께 임신 중 체중변화 역시 임신부 합병증 발생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임신 중 15kg 이상 체중이 증가한 임신부의 경우 과체중아, 거대아, 제왕절개율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이어 김 교수는 “주목할 부분은 임신 중 체중이 15kg 이상 증가한 임신부의 비율은 매년 줄어드는 반면, 임신 전 체중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라며 임신부 나이의 증가와 임신 전 체중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이 문제라고 말했다.

제일병원 주산기센터 연구팀은 “남성의 체중도 정자의 질에 영향을 미치므로, 예비 엄마․아빠가 함께 최소한 임신 전 3개월 전부터 균형 잡힌 식생활과 정기적인 운동으로 체중관리를 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체질량지수=몸무게 (kg) /신장 (m) X 신장(m)으로 나온 숫자로 구분한다. 기준은 저체중:<18.5, 정상: 18.5~22.9, 과체중: 23.0~24.9, 비만: ≥25.0다.

 




�꿔꺂��옙占쎌삕占쎈낌�뺧옙醫묒삕 �좎럡�쀯옙��쇿뜝占� �좎럩伊숋옙恝�숋옙�깆굲占쎌쥜��

占쎌쥙�э옙�낆릇占쎈툕�쀯옙節덈빝�좑옙 占쎌쥙�⑵짆�낆삕占쏙옙�용쐻�좑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