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베이커씨 낭종'이란, 무릎 뒤에 혹 생겨 방치하면 수술 받아야

이현정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무릎에 물이 찬 듯 혹이 생기고 통증이 심하다면 베이커씨 낭종을 의심할 수 있다/사진=헬스조선 DB

자영업자인 김모(52)씨는 2년 전부터 조금만 걸어도 무릎이 무겁고 뻣뻣해지는 증상이 생겼다. 김씨는 통증이 생길 때마다 휴식을 취하거나 스트레칭을 하며 버텼지만, 몇 달 전부터는 오금 부위가 물이 찬듯 부어오르고 통증이 심해져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김씨는 '베이커씨 낭종'이라는 생소한 질환을 진단받았다.

베이커씨 낭종이란 무릎 뒤쪽에 물혹이 생기는 질환이다. 무릎에는 관절의 윤활제 역할을 하는 관절액이 있는데, 관절액이 비정상적으로 유출되면 베이커씨 낭종을 유발한다. 주로 연골판 손상 등 관절 내 이상이 있거나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게 빈번히 발생한다. 질환이 진행돼 주위 조직까지 압박할 경우 신경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바른본병원 관절센터 고택수 원장은 "베티커씨 낭종은 관절 내부 이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평소 관절 질환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낭종이 커질수록 압박에 의해 무릎을 움직이는 것이 어렵고 파열될 경우 신경 손상을 동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고 원장은 "혹의 크기가 커졌다 작아졌다 반복되면 합병증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초기에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베이커씨 낭종은 증상이 경미한 경우 자연스럽게 사라지기도 한다. 하지만 혹이 손으로 만져지고 눈에 띌 정도로 커져 움직이기 불편하다면 주사기 흡인 천자술로 치료하게 된다. 다만 관절 내 연골판이나 인대가 손상된 경우라면 보행하기 어려울 정도로 통증이 심해 일상에 지장을 받을 수 있다. 이 경우라면 관절내시경을 통한 근본적인 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다. 관절내시경 수술은 병변 부위를 직접 보면서 치료하므로 낭종 제거는 물론 관절 내부의 미세한 손상까지 정확하게 치료할 수 있다. 기존 수술방식과 달리 피부 절개 없이 관절의 근본적 치료가 가능해 재발률이 낮고, 상처 또한 작은 것이 특징이다.

베이커씨 낭종을 진단받았거나, 혹은 진단받지 않은 사람이라도 평소 무릎 관리는 필수다. 양반다리를 한 채 바닥에 앉는 자세를 삼가는 것이 좋다. 무릎이 좋지 않은 사람이라면 장시간 걷기나 달리기 등 무릎에 무리를 주고, 지나치게 하중 부하가 많은 운동을 피하고 스트레칭을 통해 자주 휴식을 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占싼딅뮞鈺곌퀣苑� 占쎌뮆�э옙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