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질환

냄새 고약한 흑변?..."소화관 내 출혈이 원인"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 이기상 헬스조선 인턴기자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루에 한 번 이상 대변을 본다. 설사나 변비 등 대변은 어느 정도 우리 몸의 건강 상태를 반영한다. 이때 특히 자장면 색과 같이 검고 약간 반질거리는 듯하면서 고약한 냄새를 내는 흑변을 본다면 즉시 병원에서 진찰을 받아야 한다. 소화관 내부 출혈이 흑변의 원인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지

흑변은 소화관 내 출혈을 일으키는 질환이 원인이 될 수 있다/사진=조선일보 DB

소화관은 입에서부터 식도,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을 거쳐 항문까지 이르는 기관으로, 음식을 소화시키고 찌꺼기를 배설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흑변은 소화관 내에서 발생한 출혈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세균에 의해 분해돼 붉은빛을 잃고 검은색을 띠게 된 것이다. 항문에서 비교적 가까운 대장 등에서 출혈이 생겼을 때는 붉은빛을 잃지 않은 선홍색의 혈변을 보기도 한다.

흑변은 위나 십이지장 궤양, 식도 정맥류 등 상부위장관 질환의 경우에 주로 발생한다. 위암이나 식도암의 경우에도 출혈해 흑변을 보게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흑변을 보았을 때는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때때로 대량 출혈이 발생한 경우에는 흑변이 아닌 혈변이 나타나기도 하므로, 혈변을 보았을 때도 주의해야 한다.

흑변을 보면 병원에 내원해 내시경을 시행해야 한다. 내시경을 할 때 해당 기관이 출혈하고 있거나 재출혈 위험도가 높은 경우에는 즉각 내시경 지혈술이 시행된다. 지혈되어 있고 재출혈 위험도가 낮은 경우에는 약물 치료로 대신할 수도 있다. 하지만 흑변은 질병의 유무 외에도 빈혈약인 철분제제나 소화성 궤양 약제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동물의 피를 섭취한 경우에도 흑변 양상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가능성은 없는지 확인해 보는 것도 중요하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