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남아시아 등으로 여행을 할 계획이라면 말라리아 감염을 주의해야 한다.
질병관리본부는 제9회 ‘세계 말라리아의 날’을 맞아, 국내 말라리아 위험지역(휴전선접경지역)을 방문하는 여행객 및 거주자와 해외 말라리아 발생국가(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를 방문하는 여행객 대상으로 말라리아 감염 주의를 당부하였다.
말라리아는 모기를 매개로 전파되는 대표적 모기매개 질환 중 하나로 현재까지 총 5가지 종류(삼일열말라리아, 열대열말라리아, 사일열말라리아, 난형열말라리아, 원숭이열말라리아)가 인체 감염 가능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중 우리나라는 삼일열말라리아만 발생 중이다.
국내의 경우, 대부분의 사례가 휴전선 접경지역(인천, 경기, 강원) 거주자, 여행객 및 군인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모기가 활발히 활동하는 시기인 5-10월 사이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해외의 경우는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에서 연중 발생하며 특히 치료 예후가 좋지 않은 열대열말라리아가 지속 발생 중이다.
말라리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모기 물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피부노출을 최소화 하는 긴 옷을 입고, 항공기 등에 탑재 가능한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며, 체류 장소에 따라 적절한 모기장 등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각 국가별 발생하는 말라리아 종류 및 약제에 대한 내성이 다르므로 여행하는 국가에 따라 의사와 상담 후 적절한 예방약을 복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국가별 발생현황 및 약제내성 등은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 또는 해외여행질병센터(http://travelinfo.cdc.go.kr)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말라리아 위험 지역은 북한 접경 지역인 인천, 경기, 강원이다. 국내에서 말라리아 위험지역을 방문한다고 하여 예방약 복용을 권고하고 있지는 않다. 다만, 국내 말라리아 위험지역을 방문하는 경우에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