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다리 계속 저리다면 척추 질환 의심해야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 한아름 헬스조선 인턴기자

엉덩이나 항문쪽 찌릿한 통증 있기도

주부 박모(52) 씨는 지난 몇 달 동안 허리통증과 함께 다리가 저려와 생활이 불편했다. 하지만 그는 단순히 나이가 들어서 그렇겠지 하며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다. 그러나 진료를 위해 찾은 병원에서는 단순한 다리 저림이 아니라, 척추에 문제가 생긴 척추관협착증이라고 설명했다. 

척추관협착증은 노화, 잘못된 자세 등의 이유로 척추관이 좁아져 허리에 통증을 생기는 질환이다. 척추관은 척추의 몸통과 뒷뼈 사이에 있는 구멍인데, 이 구멍으로 신경 다발이 지나간다. 나이가 들수록 디스크의 수핵이 노화돼 딱딱해지고 이를 감싸는 관절이나 인대도 두꺼워져 통증이 생긴다.




이미지

허리 통증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한다면, 병을 악화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을 통해 치료해야 한다/사진 출처=연세바른병원 제공

척추에 질환이 생기면 대부분 허리만 아프다고 생각해 다른 증상이 나타나면 간과하기 쉽다. 그러나 척추관협착증이 생기면 등 쪽의 통증 외에도 다리가 저리거나, 엉덩이나 항문에 찌릿한 느낌이 들기도 해 주의해야 한다. 

척추관협착증과 허리디스크를 혼동하기도 한다. 그러나 두 질환은 원인이나 증상이 다르다. 허리디스크는 디스크가 노화나 파열로 인해 신경에 자극을 줘 발생하는 질환이다. 반면, 척추관협착증은 노화로 인해 척추관 주변이 두꺼워져 신경 다발을 압박해 통증이 생긴다.

허리디스크는 주로 허리를 앞으로 굽히면 아프지만, 척추관협착증은 반대로 허리를 뒤로 젖히면 통증이 생긴다. 허리디스크는 허리와 다리가 함께 아픈 경우가 많고, 척추관협착증은 엉덩이와 다리, 발 쪽 통증이 생긴다. 또한, 허리디스크는 걸으면 증상이 완화되지만, 앉으면 통증이 발생한다. 척추관협착증은 걷는 것보다 앉는 것이 통증이 덜 하다.

척추관협착증은 풍선확장술로 치료하는 것이 좋다. 풍선이 달린 굵기 2.5mm 정도의 특수 카테터를 척추관에 삽입하고, 특수 약물을 주입해 풍선을 확대시킨다. 확대시킨 풍성만큼 척추관을 넓힐 수 있다. 시술 시간이 10분 정도로 빠르고, 시술 부위도 국소적이기 때문에 회복이 빠르다. 또한, 척추 여러 마디에 증세가 있어도 동시에 치료할 수 있다. 피부 절개 없이 수술을 진행하는 만큼 부작용도 적어 만성 질환자나 노인 환자에게 적합하다.

통증과 증상이 심하면,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연세바른병원 하동원 원장은 “허리 통증을 대수롭지 않게 여겨 스스로 병을 키우는 환자가 많은데,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내원해 정확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