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력장애가 있어 시력이 크게 떨어지는 사람은 자살시도를 할만큼 스트레스가 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시기능연구소 김성수·임형택(안과) 교수팀은 저시력이 심할수록 자살에 대한 생각을 자주 하고, 실제 자살시도로 이어지는 위험도가 높았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지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질병관리본부와 대한안과학회가 공동 시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안질환 역학조사에 참여한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2만 8919명을 교정시력을 기준으로 '1.0 이상', '0.63~0.8', '0.25~0.5', '0.2 이하' 네 그룹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이 네 그룹의 시력이 ‘자살생각’,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성별, 연령, 소득수준, 교육수준, 직업군, 거주 지역' 등 다양한 배경 변수를 감안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교정시력 0.2 이하인 저시력자들이 최근 1년간 자살을 생각했거나 실제 자살시도를 했는지 여부에 있어 1.0의 시력을 가진 비교 대상 군에 비해 각각 2배와 3.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결과 평소 심한 스트레스가 있다는 사람은 '자살 생각’과 ‘자살 시도’가 최고 18배와 23배로 높은 것을 감안했을 때, 시력장애로 인한 저(低) 시력이 큰 스트레스를 불러오고 스트레스가 자살과 자살시도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추정됐다.

김성수 교수는 "고령화에 따라 녹내장, 황반변성, 당뇨병성 망막증 등 시력장애와 실명을 가져오는 질환이 계속 증가하는 만큼 저시력자에 대해 안과 진료 뿐 아니라 환자의 정신건강도 배려하는 사회적인 의료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