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터·피부壞死(괴사) 많아… 오진으로 잘못된 치료 하기도
세브란스병원 피부과 오병호 교수팀이 2011~2013년 피부과 의사가 아닌 비전문가에게 피부미용 시술을 받은 뒤 합병증이 생겨 병원에 온 24명의 환자를 분석했다. 합병증은 피부 이물반응으로 인한 육아종(염증성 결절)이 15건(62.5%)으로 가장 많았고, 피부괴사(壞死, 33.3%)가 그 다음으로 많았다. 오진으로 인한 엉뚱한 치료(20.8%)를 받은 경우도 있었다. 두 가지 이상이 중복된 경우는 3건이었다. 합병증의 원인으로는 피부에 사용하면 안 되는 파라핀이나 액상 실리콘, 실 등을 피부에 주입한 경우(87.5%)가 가장 많았다.

2012년 대한피부과의사회가 의사회 홈페이지에 신고된 부작용 사례 209건을 분석한 결과, 77%가 피부미용실에서 의사가 아닌 사람에게 시술을 받아 생긴 것이다. 가장 많이 한 시술은 문신(19%)이었고, 점과 검버섯 제거(16%), 기미 같은 색소질환 치료(15%), 여드름 치료(14%)의 순으로 많았다. 시술 종류는 레이저·필러·고주파·박피·문신 등 다양했다. 부작용은 궤양과 흉터(28%)가 가장 많았고, 염증 후 색소침착(21%), 접촉성 피부염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14%), 바이러스 감염, 피부 화상, 진균성 모낭염, 자극성 피부염의 순으로 나타났다.
오병호 교수는 "피부미용 시술이 잘못되면 피부나 신경이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입을 수 있다"며 "피부과 전문지식이나 시술 숙련도가 높은 의사와 충분히 상담한 후 시술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비의료인은 IPL 같은 레이저 장비와 보톡스·필러 주사 등을 쓸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