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비인후과

4月 '부비동염' 9세 이하 어린이들 특히 조심해야

이해나 헬스조선 인턴기자

부비동염이 환절기인 3, 4월 소아와 아동에게 잘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부비동염으로 진료받은 환자 563만 8천명을 조사한 결과(2012), 9세 이하가 31.62%(178만 2,654명)를 차지했으며 전체 진료인원 수는 환절기인 3, 4월과 12월에 가장 많았다. 부비동염은 코 주위 얼굴 뼈 속에 있는 빈 공간인 부비동 점막의 염증성 질환으로 축농증이라고도 불린다.




이미지

사진=국민건강보험공단 제공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장정현 교수는 “부비동염은 감기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환절기인 3, 4월에 진료인원이 늘어난다"며 "특히 9세 이하 소아·아동의 경우 성인에 비해 면역기능이 약해 감기에 더 잘 걸리기 때문에 축농증 또한 더 잘 걸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이들의 경우 부비동이 성인에 비해 작아 코의 점막이 조금만 부어도 더 좁아져 축농증에 잘 걸리기도 한다.

부비동염에 걸리면 고름 같은 누런 콧물, 목 뒤로 넘어가는 콧물, 코막힘, 기침 등이 발생하며 더 심해질 경우 발열이 생기거나, 냄새를 잘 못 맡고, 안면 부위의 통증과 두통이 나타날 수 있다. 바이러스성 비염(코감기) 이후의 세균 감염, 알레르기, 치아 감염, 외상, 해부학적 기형 및 이상, 코 안의 물혹, 비강 내 이물질, 섬모운동 이상, 점액분비 이상, 곰팡이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치료법
축농증은 주로 항생제로 치료한다. 급성의 경우 약 10일에서 길게는 3주 이상까지, 만성의 경우 4~6주 정도 항생제를 투여한다. 매일 생리식염수를 이용해 코 점막을 세척하며 점막에 수분을 공급하고, 분비물을 제거해주는 것도 효과적이다. 비점막 수축제, 항히스타민제 등도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무분별한 사용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 전문의와 상의한 후 사용하는 게 좋다.
만성 부비동염(부비동염의 증상이 12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서 약물 치료와 비강 세척과 같은 보조적 치료가 효과가 없거나, CT 촬영상 비강이나 부비동에 병변이 발견되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다. 가장 대표적인 수술 방법은 부비동 내시경 수술로 코 안으로 내시경을 집어넣어 부비동을 관찰하면서 병소를 제거하는 것이다.
단, 소아는 성인과 달리 코 안의 조직들이 성장하는 단계에 있어 수술적인 치료가 위험할 수 있다. 장정현 교수는 "부비동 자체도 발육이 미약하므로 수술에 의한 외상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장기적으로 얼굴뼈의 성장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소아는 수술 보다는 비수술 진료가 많다”고 말했다. 장 교수는 반면 "부비동으로 인한 심한 합병증이 있다면 연령에 관계없이 수술을 진행해야 하나, 일반적으로는 비강 구조의 발육이 완성되는 17세 정도 이후에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말했다.

◇예방법
급성 부비동염의 대부분은 바이러스성 비염(코감기)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며, 이를 적절히 치료하지 않을 경우 만성 부비동염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환절기에 외출 후에는 손발을 잘 씻어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감기나 급성 부비동염이 발생한 경우에는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嶺뚮씭�섓옙占� �곌랬�� �좎럥�삼옙占�

�좎떬�낅츩�브퀗�h땻占� �좎럩裕놅옙��쇿뜝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