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빈약한 엉덩이, '좌골점액낭염' 고위험군

헬스조선 편집팀

사무직, 운전기사 등 오래 앉아 있는 직업군에서 발병률 높아

오래 앉아있는 습관은 목과 허리에만 문제를 일으키는 것이 아니다. 엉덩이 쪽에 위치한 좌골 주위 조직인 점액낭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좌골점액낭염이라고 한다.

주로 오래 앉아 있는 직업인 사무직 종사자, 택시기사 등 장시간 운전자 가운데 많이 발생하는데, 만약 휴가철에 장시간 운전을 한 후 생긴 엉덩이 통증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좌골점액남영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이미지

위핌 제공

특히 엉덩이에 살집이 부족한 사람의 경우 좌골점액낭염이 발병할 확률이 높다. 엉덩이 부근의 근육 층이 얇으면 일종의 쿠션 기능이 떨어져 같은 시간을 앉아 있더라도 보통 사람보다 점액낭에 더 많은 압박을 받게 된다.

좌골점액낭염이 생기면 우선 앉을 때마다 엉덩이가 자주 배겨 통증이 크다. 점액낭에 생긴 염증이 골반 하부를 지나는 좌골신경을 자극해서다. 그로인해 허리디스크의 방사통이나 하지불안증후군과 유사한 다리 저림을 호소하는 이들도 있다.

‘좌골점액낭염’은 대부분 방치해서 상태를 악화시키는데, 보통 앉아 있을 때 통증이 심해지고 일어서거나 걸을 때는 통증이 사라지는 특징 때문이다.

부천하이병원 관절센터 안영주 부장은 “좌골점액낭염을 방치할 경우 관절수증(관절 안에 물이 차는 것)과 꼬리뼈인 천골과 엉덩이뼈인 장골이 연결되는 부위에 손상이나 염증에 의해 통증이 생기는 ‘천장관절증후군’ 등 이차적인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대부분 좌골점액낭염은 발병초기에 물리치료나 약물치료로 쉽게 호전시킬 수 있지만, 심하다면 환부에 스테로이드 주사를 놓아 통증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좌골점액낭염’이 있다면 앉아있는 시간을 최대한 줄이고 딱딱한 곳에 엉덩이가 닿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가장 우선이다. 어쩔 수 없이 앉아야 한다면 쿠션감이 좋은 방석을 사용하고 알코올은 혈액순환을 저하시켜 점액낭염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어 반드시 금주해야 한다.




嶺뚮씭�섓옙占� �곌랬�� �좎럥�삼옙占�

�좎떬�낅츩�브퀗�h땻占� �좎럩裕놅옙��쇿뜝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