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겨울철 니트에 사는 집먼지진드기 제거법

김은총 헬스조선 인턴기자

겨울에는 특히 자주 입는 니트와 빨기 힘든 침구류에 집먼지진드기가 많다. 집먼지진드기는 크기가 0.1~0.3mm로 매우 작고, 주로 인체에서 떨어진 피부각질·식물섬유·집 안 먼지·곰팡이 포자 등을 먹고산다. 물거나 질병을 퍼뜨리지 않지만, 배설물과 사체 잔해에 포함된 단백질의 한 종류인 '구아닌' 성분이 사람 피부에 닿거나 호흡기로 들어갈 경우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한다. 주로 비염·아토피성 피부염·천식 환자들이 이에 반응한다.




이미지

조선일보 DB

특히 침구류에는 집먼지진드기가 1만 마리 이상 서식하며 200만 개가 넘는 집먼지진드기 배설물 덩어리가 있다. 밤에 자면서 흘리는 1~1.5L의 땀과 몸을 뒤척일 때 떨어지는 피부 각질이 침대 매트리스에 묻어 집먼지진드기가 서식하기 적합한 환경을 만들어주기 때문.

집먼지진드기를 제거하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다. 우선 매일 아침 일어나면 침대 위에 이불을 걷어 매트리스에 묻은 땀이 날아가게 한다. 3개월에 한 번씩 매트리스의 좌우 방향을 바꿔 주고, 6개월에 한 번씩 아래위를 뒤집는 것이 좋다. 또한, 집먼지진드기는 충격에 약해 두들기면 약 70%는 죽는다. 니트류는 입기 전과 입고 난 후 한번씩 두드려 털어주고, 침구류도 한 달에 한 번 정도는 햇볕에 말린 후 걷을 때 가볍게 두들겨준다. 집먼지진드기는 섭씨 60도 이상의 더운물로 세탁하면 사체와 배설물까지 깔끔하게 처리된다. 때에 따라서는 집먼지진드기를 청소하는 자외선 살균 청소기도 도움이 된다.

또한, 실내온도와 습도를 잘 조절해야 한다. 집먼지진드기는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잘 번식한다. 실내 온도는 15~16도로 약간 서늘하게 하고 습도는 40~50%로 낮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주기적으로 환기를 시켜주고 생활먼지를 최소화 해야 한다.




�ъ뒪議곗꽑 �쒕퉬��